-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Motivation,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희(Kim Myung-Hee) 하정희(Ha Jung-Hee) 차경희(Cha Kyung-H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4집 제3호, 57~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다양한 개인차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353명의 남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적 실패내성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이해 지능은 학업성취와 학교적응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이 외에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 하위변인들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유형 하위변인들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대한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 전체의 독립적인 효과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된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이 외에 학업성취에는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이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학교적응에는 학습동기와 학습양식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갖는 시사점 및 제한점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motivation,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justment, and to examine the individual difference which ha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failure tolerance affected school adjustment. Seco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ll, whereas sub-variables of multiple intelligence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nt. Thirds, sub-variables of learning style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nt. Finally, the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s of all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great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ll. Besides, academic motivation,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yle affected school adjustment. The discussion follows about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사고양식과의 관계 비교
-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열린교육연구』학회지 투고 규정 외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developing accreditation standards for evaluation using concept mapping - focusing on the medical education
-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 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e-Learning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