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and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on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양미경(Yang Mikye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4집 제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식의 본질과 정당화의 문제를 다루는 인식론 영역은 그동안 주로 철학적인 시각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 ‘인식론적 신념(epistemological belief)’ 혹은 ’개인적 인식론(personal epistemology)’ 등으로 칭해지면서 교육학 분야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지극히 사변적이고 일반론적인 입장에서 다루어지던 인식론의 문제를 구체적인 개인의 신념 문제로 개념화하고 논의할 수 있는 맥락을 얻게 된 것은 교육 활동을 연구하는 입장에서 볼 때 매우 의미 있는 소득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인식론적 신념의 범주와 차원에 대한 개념화 방식, 인식론적 신념의 변화 양상, 학습과의 관련성, 그리고 연구 방법론적 특성 등의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선행 연구에서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중요한 문제들을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 제시하였다. 첫째, 인식론적 신념의 형성과 발달에 미치는 현행 학교의 맥락적 특성의 문제를 교육과정, 교수방법, 평가방법 등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조건들을 논의하고 이를 위해 학교의 제반 여건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끝으로, 측정의 방법론 및 연구의 설계, 이론화 등의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 방법론적인 정교화를 위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Epistemology, the study of knowledge and knowing, has long been one of the cornerstones of philosophy. But recently the role and influence of an individual"s epistemological beliefs have become the focus of inquiry in the educational literatures. Across the various models of what individuals think that knowledge is and how one comes to know are numerou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on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 is provided around four gen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s of the boundaries and dimensions of epistemological beliefs, developmental progression and stage issues, relations to learning,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in future research are identified. Although a number of the study of epistemological beliefs have been performed, there is still little reflection on the influences of the contextual variables of schooling on th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s. Actually, traditional school system does not fit easily into the postmodern trends because schooling is deeply intertwined with the project of modernity. The curriculum are conceived as the external facts imposed on learners, learners are considered receptive, the learning process is supposed to be cummulative, and objective criteria are applied in evaluating learners" achievement.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fforts of developing epistemological beliefs produce little outcome if underlying relations in schooling do not change into interactive, student-centered context which empowers students as reflective thinkers and self-directed learner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on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 is provided around four gen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s of the boundaries and dimensions of epistemological beliefs, developmental progression and stage issues, relations to learning,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in future research are identified. Although a number of the study of epistemological beliefs have been performed, there is still little reflection on the influences of the contextual variables of schooling on th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s. Actually, traditional school system does not fit easily into the postmodern trends because schooling is deeply intertwined with the project of modernity. The curriculum are conceived as the external facts imposed on learners, learners are considered receptive, the learning process is supposed to be cummulative, and objective criteria are applied in evaluating learners" achievement.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fforts of developing epistemological beliefs produce little outcome if underlying relations in schooling do not change into interactive, student-centered context which empowers students as reflective thinkers and self-directed learners.
목차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연구의 동향: 주제별 분석
Ⅲ. 교육적 재해석과 향후 연구과제의 탐색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 제기
Ⅱ.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연구의 동향: 주제별 분석
Ⅲ. 교육적 재해석과 향후 연구과제의 탐색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사고양식과의 관계 비교
-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열린교육연구』학회지 투고 규정 외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developing accreditation standards for evaluation using concept mapping - focusing on the medical education
-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 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e-Learning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