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이용수  818

영문명
Gender play: Border crossings between dichotomous gender identiti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허창수(Hur Changsoo)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4집 제3호, 119~14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1.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젠더의 이분법적 인식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시작되었다. 이러한 젠더의 이분법적 인식은 학교 교육과정의 실행에 스며들어,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고정관념 또는 보편적(stereotype)이고 이분법적인 정체성으로 전환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제기와 힘께, 초등학교 2학년 어느 한 반 아이들의 놀이와 수업을 중심으로, 그들 사이에는 얼마나 다양한 탈보편적인 젠더 정체성이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에 답변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대상들은 생물학적 성(sex)에 따른 보편적이고 이분법적인 젠더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동시에 학생의 수업과 놀이에서 이분법적인 젠더 정체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례들도 상당히 나타났으며, 이것으로부터 결국 대상 학생들이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기에는 어렵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With a purpose to understand children"s socialization in schooling, I attempt to answer a question of how Korean second grade children reconstruct their gender identities in an elementary classroom?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way of ethnographic study to explore the meanings of children"s gender plays during several months.
  The emergent meanings of children"s gender plays suggest school practices in five folds: 1) Korean teachers should consider their practices in terns of gender if they need to divide their children by gender categories, 2) Teachers and school practices should make an effort to avoid stereotypical gendered practices in schooling, 3) Teachers encourage mixed gender practices rather than individual gender practices, 4) To manage school facilities, teachers and other school stakeholders should not assign them to a particular gender category, 5) Schooling should encourage children"s critical thinking to understand their given situations.
  This study has tow implications: 1) I suggest that the further studies on gender identities of children should consider various gendered identities and practices rather dichotomous perspectives among children plays, 2) I suggest that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based on gender perceptions to give children opportunities of reconstructing their oppressed gender ident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해석적 고찰: 아이들의 놀이에 대한 맥락적 해체와 교사 역할의 중요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창수(Hur Changsoo). (2006).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열린교육연구, 14 (3), 119-147

MLA

허창수(Hur Changsoo). "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열린교육연구, 14.3(2006): 119-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