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AI-Enhanced Web Application to Support Reverse-Engineer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염재무 손미현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5호, 360~37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중학생 대상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교육을 지원하는 AI 기반 통합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전문가 인터뷰와 문헌 분석을 통해 설계원리및 지침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 이후, AI 기반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과제 수행 효율성과 AI 기반 기능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주요 페이지의 튜토리얼 제공, API 기능 확장, 도구 사용법에 대한 상호작용형 모듈 설명, 챗봇 사용 최적화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최종 개발된 AI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은 중학생들이 리버스 엔지니어링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수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향후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체계적 검증과 교사 및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지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I-integrated web application to support reverse engineering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reverse engineering instruction. Applying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DDR) methodology,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interviews an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ese insights, a prototype web application was developed. Subsequently, a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experts having experience in teaching AI-based reverse engineering courses. The results indicated high satisfaction with task performance efficiency and AI-based features.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several improvements were made including the provision of tutorials for main pages, expanded API functions, interactive explanation of tool module, and optimized chatbot usage. The final AI-based web application effectively supports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ing reverse engineering learning objectives and enhances its applicability in classroom setting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systematic verification in real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 development of targeted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for teachers and students.
목차
I.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nges in Text Difficulty in Korean 10th-Grade English Textbooks from the 5th to the 2022 Revised Curricula
-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hatGPT-Assisted English Speaking Practice Based on Student Engagement Levels
- 2019 개정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실행 분석
-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탐색-TPACK 프레임워크 관점에서
-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중심 통합교과의 발전 방향 탐색: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지각된 유용성에 따른 예비과학교사들의 AI‧디지털 기반 수업 활용 수용 의도 분석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