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중심 통합교과의 발전 방향 탐색: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a Physical-Activity-Oriented Integrated Subject in Lower Elementary Grades: Focusing on Early Childhood-to-Elementary Continuity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성혜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5호, 323~33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초 연계 관점에서 초등학교 1‧2학년 ‘신체활동 중심 교과’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문헌분석과 유아·초등체육 분야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병행하고, 주제분석을 통해 핵심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저학년 단계에서 신설 교과가 효과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교육지원 등 네 축의 상호 정렬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교육목표는 신체활동의 즐거움과 지속적 참여 동기 형성, 기본움직임기술(FMS) 습득과 신체적 자신감, 건강‧안전 생활습관의 내면화, 놀이·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정서 역량 함양으로 정리되었다. 교육내용은 이동·조작·균형을 중심으로 한 FMS 학습, 놀이와 표현 활동, 건강‧안전을 위한 교육으로 제시되었고, 교수‧학습방법은 구조화된 놀이, 수준별 과제와 소그룹 운영, 긍정적 피드백과 모델링을 핵심으로 제안하였다. 교육지원 측면에서는 일상적 신체활동 시간 보장, 안전하고 충분한 공간·기자재, 교사 전문성 연수, 수업자료·평가도구 꾸러미 제공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정렬은 누리과정 경험을 초등 저학년으로 매끄럽게 계승하고 3학년 이후 체육과로의 수직적 연계를 강화하는 제도적 장치로 기능한다. 본 연구는 시수 확대를 넘어 정책·실천 가능한 설계 원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규모 현장검증과 국제 비교를 통한 정렬 효과의 실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 physical-activity-oriented integrated subject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ith a focus on ensuring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conducted along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ten experts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 thematic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derive key categor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 subject at the lower elementary level, alignment across four foundational pillars: educational goals,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support—is essential. The educational goals identified include: fostering enjoyment and motivation for sustained physical activity; acquiring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MS) and developing physical confidence; internalizing healthy and safe habits; and cultivating social-emotional competence through play and interaction. The proposed content includes FMS activities centered on locomotor, manipulative, and balance skills; play and expressive activities; and health and safety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emphasize structured play, differentiated tasks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 use of positive feedback and mod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upport,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secure time for daily physical activity, ensure access to safe and sufficient space and equipment, provide teacher training, and develop adequate teaching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Such alignment functions as a system-level bridge, ensuring a smooth transition from experiences in the Nuri Curriculum to early elementary education, and reinforcing vertical continuity into the form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rom Grade 3 onwa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design principles that go beyond increasing instructional hours,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both policy and practice. Future research should empirically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alignment through large-scale field studies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혜. (2025).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중심 통합교과의 발전 방향 탐색: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9 (5), 323-331

MLA

박성혜.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중심 통합교과의 발전 방향 탐색: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9.5(2025): 323-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