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각된 유용성에 따른 예비과학교사들의 AI‧디지털 기반 수업 활용 수용 의도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cceptance Intention of AI and Digital Tools Based Instruction on Perceived Usefulnes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오현정 조은희 서민효 맹희주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5호, 342~359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을 토대로 AI·디지털 도구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에 따른 예비과학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 활용 수용 의도를 분석하고, 예비과학교사의 AI·디지털 수업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5년 3월 한 달 동안 경기도 소재 D대학교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8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t-검정, 카이제곱 검정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유용성 집단은 저유용성 집단보다 AI·디지털 도구 인지 및 이용 용이성 인식이 높았으며, 특히 이용 용이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유용성 집단은 저유용성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AI·디지털 도구 기반 수업 설계 및 수업 실행 역량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AI·디지털 도구 활용 역량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고유용성 집단이 저유용성 집단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며, 교원양성기관의 AI·디지털 도구 활용 역량 교육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고유용성 집단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I·디지털 도구의 유용성 수준이 높을수록 AI·디지털 기반 수업 활용을 위한 교육 수용 의도가 높고 수업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원양성기관은 예비과학교사의 기술 수용 태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지각된 유용성을 높이는 체계적이고 실습 중심의 교육과 지원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AI·디지털 도구의 실제적 활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cceptance intention of AI- and digital tool-based instruction based on perceived usefulness, draw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ir instructional competence. A survey was conducted in March 2025 with 100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t D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8, employing t-tests and chi-square tests to exa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levels of perceived useful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usefulness group demonstrated greater aware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AI and digital tools than the low-usefulness group, with ease of us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high-usefulness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elf-perceived competenc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I- and digital tool-based instruction. Third, the high-usefulness group also expressed a stronger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raining in AI and digital tool utilization, as well as greater agreement on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support such competency develop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er levels of perceived usefulness are associated with stronger acceptance intentions and greater instructional competence in AI- and digital-based instruction. Accordingl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design systematic, practice-oriented training and support programs that enhance perceived usefulnes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engage with AI and digital tools in instructional contexts.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현정,조은희,서민효,맹희주. (2025).지각된 유용성에 따른 예비과학교사들의 AI‧디지털 기반 수업 활용 수용 의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9 (5), 342-359

MLA

오현정,조은희,서민효,맹희주. "지각된 유용성에 따른 예비과학교사들의 AI‧디지털 기반 수업 활용 수용 의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9.5(2025): 342-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