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탐색-TPACK 프레임워크 관점에서
이용수 0
- 영문명
-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Use of Edu-tech Based on TPACK Framework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건희 박정준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5호, 314~32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철학을 배경으로, 에듀테크를 선도적으로 활용하는 체육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을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프레임워크를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적 다중사례연구설계를 적용하여,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된 5명의 에듀테크 활용 체육수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서술적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raun & Clarke(2021)의 재귀적 주제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체육수업 전문가는 에듀테크를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자기주도성 및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필수적 도구로 인식하면서도, 신체활동이라는 교과의 본질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보조적 수단’으로 그 역할을 규정한다. 둘째, 체육수업에서 영상 분석을 통한 자기 성찰 촉진,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개별화된 운동 처방, 메타버스를 통한 시공간 제약 극복 등 TPACK의 하위 요소인 TCK, TPK, 그리고 통합적 TPACK이 발현되는 구체적 양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불안정한 인프라, 신체활동 시간 잠식, 교사 및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부족을 TPACK 발현을 저해하는 구조적 장벽으로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체육교사의 에듀테크 활용은 기술 자체의 정교함보다 보편적 기술을 교육과정의 목표에 맞게 창의적으로 재구성하는 설계 역량에 있으며, 교과별 교사의 통합적 TPACK 역량 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교육 생태계 구축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e context of the philosophy of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actical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tilizing educational technology (Edutech) through the technology content teaching knowledge (TPACK) framework. Employing qualitative multi-case study design,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narrative surveys with five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lected via purposive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cursive subject analysis of Braun & Clarke (2021). The findings revealed three key insights. First,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 Edutech as an essential tool for cultivating self-directed and digital literacy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ey regard its role as an ‘auxiliary means’ that should not compromise the essential value of the subject of physical activity. Second, TCK, TPK, and integrated TPACK, the sub-elements of TPACK, were demonstrated through practices such as promoting self-reflection through video analysis, individualized exercise prescription using wearable devices, and overcoming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rough the metaverse. Third, structural challenges, including unstable infrastructure, erosion of physical activity time, and lack of digital literacy of teachers and students were identified as barriers to TPACK expression. In conclusion, the effective use of Edutech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ies not in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but rather the design ability to creatively reconstruct general technology to meet the goals of the curriculum. This highlights the urgent need to cultivate integrated TPACK capabilities of teachers in each subject and build an educational ecosystem to support them.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 의
V.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nges in Text Difficulty in Korean 10th-Grade English Textbooks from the 5th to the 2022 Revised Curricula
-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hatGPT-Assisted English Speaking Practice Based on Student Engagement Levels
-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탐색-TPACK 프레임워크 관점에서
-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중심 통합교과의 발전 방향 탐색: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2019 개정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실행 분석
- 지각된 유용성에 따른 예비과학교사들의 AI‧디지털 기반 수업 활용 수용 의도 분석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