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시나리오 표준 포맷 상용화를 위한 연구 -씨네한글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Pendingissues and problems about Scenario editor image education by image education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영철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0호,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orean film 100 years, the time is not important, the next 100 years should lay the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lm and video production environment in an efficient and stable environment, emphasizing once again that the beginning is the standardized scenario format "Cine Hangeul".
Unreasonable production practices that were not possible due to the lack of standardized scenarios, I would like to know that I am familiar with 52 hours of working environment and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means to improve the movie production environment that can not be delayed any longer.
To this end, government-level support and active use by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encouraged.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scenarios in the various support projects of the Korea Film Council, and to unify the scenarios of the domestic investment and production companies into Cine-Hangul.
The cost of this policy seems to be desperate because of the public purpose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the Korean video industry. It will also be the rapid propagation of the early version tha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so that it is ea sily accessible to anyone writing a scenario in Ko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o construct rational and efficient shooting, editing, and late system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the scenarios that are the basis of that. This is because the scenarios are just beginning.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 본론
Ⅲ .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드리안 셔골드의 <설득>: 오스틴 소설의 현대적 다시 쓰기
- <진링의 13소녀>의 서발턴 서사의 스토리텔링
- 한국 독립영화 제작 지원 정책 연구
- 대조의 미학을 활용한 영화 연출 연구 - 자크 오디아드의 영화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을 중심으로 -
- 영화 속의 메소드연기 연출에 의한 효과적 표현 연구와 응용 방식 연구 - 홍상수 영화와 영화 <전주에서 길을 묻다>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 <추격자>,<세븐>, 그리고 <양들의 침묵>에 등장하는 사이코패스 캐릭터의 비교와 그것이 플롯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랑은 비를 타고>의 자기반영성을 활용한 교육심리학의 메타인지 개념 교수법 연구
- 후반 영상제작에서의 실시간 위치 트래킹을 이용한 모션그래픽 가상카메라 연구
-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 드러난 시간과 기억의 표현방법 연구
- 키에슬롭스키 영화에서 ‘관객의 주체화’ 문제 제기 - <십계 5>,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을 중심으로 -
- The Aesthetics of Cuban Cinema achieved by Imperfect Technology - With focus on Post-Revolutionary Avant-garde films -
- 한국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시나리오 표준 포맷 상용화를 위한 연구 -씨네한글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