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추격자>,<세븐>, 그리고 <양들의 침묵>에 등장하는 사이코패스 캐릭터의 비교와 그것이 플롯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psychopath characters in
, , and and its influence on the plot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윤용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0호, 227~2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re is a tremendous amount of similarities between , , and . They all belong to crime/thriller genre and they all contain psychopath antagonists and detective protagonists who chase the suspects. Throughout the film history, Hollywood film industry has been continuously making crime/thriller genre films and that particular genre has been firmly securing its market. However, the history of making crime/thriller genre film in Korean film industry is short. Korean society has been unacquainted with the term, “psychopath” until the shocking serial killer, Yoo Young Cheol showed up in 2004 who imprinted the concept of psychopath to the public. was based on Yoo Young Cheol crime case. It is perhaps the first movie in Korean film industry with detailed appearance of psychopath character. Since then, many crime/thriller genre films have been made treating psychopath characters. Psychopath suspects in crime/thriller genre films influence the plot a great deal because the plot heavily depends on what kind of mental illness they suffer, their behavioral aspects, and the pattern of their crime. The protagonists obviously have to respond to antagonist’s crime and that activity adds up to build the plot of the movie. Through that process, the auteur usually approach to reveal th e theme of the movie. In that sense, it becomes a valuable practice to analyze critically acclaimed crime/thriller genre film and its psychopath antagonists in order to develop the plot to higher and more unique level.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 본론
Ⅲ .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드리안 셔골드의 <설득>: 오스틴 소설의 현대적 다시 쓰기
- <진링의 13소녀>의 서발턴 서사의 스토리텔링
- 한국 독립영화 제작 지원 정책 연구
- 대조의 미학을 활용한 영화 연출 연구 - 자크 오디아드의 영화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을 중심으로 -
- 영화 속의 메소드연기 연출에 의한 효과적 표현 연구와 응용 방식 연구 - 홍상수 영화와 영화 <전주에서 길을 묻다>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 <추격자>,<세븐>, 그리고 <양들의 침묵>에 등장하는 사이코패스 캐릭터의 비교와 그것이 플롯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랑은 비를 타고>의 자기반영성을 활용한 교육심리학의 메타인지 개념 교수법 연구
- 후반 영상제작에서의 실시간 위치 트래킹을 이용한 모션그래픽 가상카메라 연구
-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 드러난 시간과 기억의 표현방법 연구
- 키에슬롭스키 영화에서 ‘관객의 주체화’ 문제 제기 - <십계 5>,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을 중심으로 -
- The Aesthetics of Cuban Cinema achieved by Imperfect Technology - With focus on Post-Revolutionary Avant-garde films -
- 한국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시나리오 표준 포맷 상용화를 위한 연구 -씨네한글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