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에슬롭스키 영화에서 ‘관객의 주체화’ 문제 제기 - <십계 5>,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Raising a Question on Audience’s Subjectification in Kieslowski Film - Focusing on , -
발행기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저자명
이학준 김종완
간행물 정보
『영상기술연구』제30호, 187~20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According to Jacques Lacan, all humans suffer from mental illness. Humans escape mental illness and reach subjectification through traverseedu phantasme. Lacan’s subjectification is a rebirth as the subject of pure desire, and Slavoj Zizek’s subjectification means a reform as the subject that seeks common good. Through the character’s journey to subjectification, the audience is affected by their unconsciousness. In addition, the audience experiences subjectification. But there are no subjective characters in the two films, and . Kieslowski tries to add an impact to the audience’s unconsciousness by describing detailed murder scenes. The director’s intention is to make the audience realize how cruel murder by public authority is. This study analyzes Kieslowski’s two films by raising a question on ‘Audience’s Subjectific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 본론
Ⅲ .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학준,김종완. (2019).키에슬롭스키 영화에서 ‘관객의 주체화’ 문제 제기 - <십계 5>,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을 중심으로 -. 영상기술연구, (), 187-205

MLA

이학준,김종완. "키에슬롭스키 영화에서 ‘관객의 주체화’ 문제 제기 - <십계 5>,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을 중심으로 -." 영상기술연구, (2019): 187-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