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 드러난 시간과 기억의 표현방법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xpression Method of Time and Memory Appeared in by Chris Marker
발행기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저자명
이세영
간행물 정보
『영상기술연구』제30호, 171~18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some methods to express the time and remembrance that appear in Chris Marker’s documentary work, . Marker’s brings snippets of past, present and future images together from memory, leaving the story open-ended. Marker created this work as if he had written a poem, expressing an image of the reality and remembrance in the documentary. For him, any form of remembrance can remain. Memory is something that should remain forever, rather than disappear after a moment. He attempted to express the time and remembrance that surpass the past-present-future, using black leader, freeze frames and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This is Marker’s argument about the time and remembrance that appear in the whole of the movie and is an expression of images surpassing the world of space and time that a collective remembrance has. Through this film, Marker showed that all images can be transformed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can remain as memory. From this study, I claim that the memory of people is recreated as a new image and concluded that they are located in collective memories beyond their past and present.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 기억의 다양한 양상
Ⅲ . 시간의 표현 요소들
Ⅳ . 기억 표현의 확장 가능성
Ⅴ .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세영. (2019).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 드러난 시간과 기억의 표현방법 연구. 영상기술연구, (), 171-185

MLA

이세영.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 드러난 시간과 기억의 표현방법 연구." 영상기술연구, (2019): 171-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