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친일영화의 특징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Japanese Films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1호, 89~1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35 is the year when , the first talkie movie was produced to give a boost to movie industry. However, movie circle had to face dark age in 1940 when ‘Decree for Chosun Movie’ was proclaimed.
‘Decree for Chosun Movie’, which was a law corresponding to the war of aggression promoting the union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 strong controling policy to domain whole movie circle. Its main content was obliged to show the movie to propagate Japan and was to limit to import or show foreign movies. In addition, the regulation to force the movieman to be registered and their function to be examined, made the movieman restricted in his activities.
Under the Japanese’s policy of suppression and control, pro-Japanese groups emerged in this field. They took a lead to support Japanese policy and annihilate national culture. Especially, in 1942, Joseon Film Production Corporation was founded in exchange for forcing to shut down most Jeseon film companies and neutralizing a movie circle. Indeed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was a wrethed period when Koean moviemen were conspicuously suppressed.
Pro-Japanese films were produced initialized by in 1938. (Cho In-kyu, in 1941) was based on an orpha.
nge named Hyangrinwon and raised an issue of colonial policy of subjecting to Japan of the union of Korea and Japan. (Lee Byung-il, in 1941) showed a poor film industry and a robber baron to propagate Jeseon Film Act. (An Sok-young, in 1941) and (Park Gi-chae, in 1943) propagated a volunteer system. In particular, all of them had pro-Japanese scenes throughout the movies and was produced in Japanese. Through these four movies, the story and the type of other pro-Japanese films can be figured ou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이후 일본 영화산업에서의 흥행 지형도-수입 점유의 다원화 경향과 만화 원작 영화의 흥행을 중심으로-
- 친일영화의 특징 연구
- 동일시 이론의 관점에서 본 영화의 초점화 양상 연구
- 텔레비전 예능의 뉴 패러다임-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여가의 발견-
- 다르덴 형제의 영화 공간 연구
-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이차 프레임 연구
- Modification of the Method for Screen Acting Considering Korean Sense and Sensibility
- 영화에서 “틈(隙)”에 대한 공간연구-봉준호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 한국 공포영화의 장르관습의 변화 연구-<월하의 공동묘지> <여고괴담> <화이트-저주의 멜로디>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현대 한국 실험영화 생산주체의 고유성 탐구-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0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