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시네마의 제작환경에 맞춘 촬영과 조명기법-영화 <후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inematography and Lighting Technique Optimized for Digital Cinema Environment-On the Movie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윤용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8호, 47~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re is no set definition of digital cinema yet. But a large number of movies worldwide are made through digital cinema process. Therefore movie industries worldwide need to rush on setting up the standardization of digital cinema. Korean movie industry should not be an exception.
Here on this paper, we define digital cinema as a born digital medium. In other words, it is shot digitally and kept digitally throughout the whole work-flow. On the other hand, process that involves conversion from digital files to film or vice versa is more convenient for a cinematographer to keep his/her intention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han digital cinema. Not like film era where there is rather limited and data-based color space, there is not enough data-base built up in digital cinema yet. So cinematographers face unlimited color space which makes them nearly impossible to keep their visual intention throughout the whole movie making process.
As a starter, this paper examines cinematography and lighting techniques used on the sets of the movie which completely followed digital cinema process. We learn about cinematographer’s attempts to keep his visual intention throughout the whole work-flow.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디지털 시네마 <후궁>의 촬영과 조명 기법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