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르덴 형제의 영화 공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the Dardenne Brothers’ Cinema Space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신정범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1호, 153~16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Dardenne brothers creates an ensemble with the protagonist and an object locked together: the boots in , the belt and the measuring tape in , the pram in . They thus reinforce the sense of cinema by highlighting meaning of object. The things could be the objects or the space : the boots, the belt, the pram, the crumpled corners of the city, the river bank or the left-over strips of forest neighbouring the motorway. They are complementary relation to and affected. This relation makes ontological meaning of characters’ weight of a quaint life.
These left-over spaces function in relation to the gestures and the objects portrayed in the films, the Dardenne brothers’ cartography coming into existence once these protagonists are anchored, or embedded in a specific environment. This is an environment which they define and which in turn defines them. The left-over spaces in Dardenne films can only be understood in this dual productive relationship.
The intensity of the Dardennes’ cinema space is extended by the gestures, and objects which are extended by silence. Through this, the audience Changes actively. The audience can think about what lies behind walls, look over shoulders and imagine the outside of the frame that can perhaps explain the complex facial features of all the characters. Thus, the Dardenne brothers open up the space of resistance and protest.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사물, 몸짓, 공간의 관계
Ⅲ. 사물, 몸짓, 공간의 확장
Ⅳ. 나오는 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이후 일본 영화산업에서의 흥행 지형도-수입 점유의 다원화 경향과 만화 원작 영화의 흥행을 중심으로-
- 친일영화의 특징 연구
- 동일시 이론의 관점에서 본 영화의 초점화 양상 연구
- 텔레비전 예능의 뉴 패러다임-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여가의 발견-
- 다르덴 형제의 영화 공간 연구
-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이차 프레임 연구
- Modification of the Method for Screen Acting Considering Korean Sense and Sensibility
- 영화에서 “틈(隙)”에 대한 공간연구-봉준호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 한국 공포영화의 장르관습의 변화 연구-<월하의 공동묘지> <여고괴담> <화이트-저주의 멜로디>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현대 한국 실험영화 생산주체의 고유성 탐구-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0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