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에서 “틈(隙)”에 대한 공간연구-봉준호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pace of ‘Gap’ in Films-Focused on Director Bong Joon-ho’ Films-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윤장호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1호, 203~2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Spaces seen in a series of films by Film Director Bong Joon-ho are those of representation of contradictions produced by post-capitalism the contemporary society is facing. Expansion and inclination of power with urbanization have spread to an issue of alienation of individuals and family members. Constant’s New Babylon, which shows unitary urban planning in a form of a concretized city, depends its realization upon sharing of the land and complete automation of production. Spaces in his films develop those isolated internally as an important environmental element. When one looks at his works, it is necessary to have a vision to see the layers of topography and space from macroscopic and conceptual perspectives, breaking away from microscopic and concrete ones, and have an organic understanding of a space, which constantly changes beyond a physical structure. An architectural space is a place that formalizes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surrounding us. The formation of a city can be seen as the production of structures, and this spatial system is reproduced and utilized in the spaces of Director Bong’s films in a situation of the time in which the more compressed the growth in an environment, the thicker the shade becomes. To him, the space of ‘gaps’ is the time of losses of Korean society in the past, and he makes his characters challenge to the resulting critical spatial situation, which is a space of issues we should deal with in the future as well as reflect on the time that has passed outside the film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이후 일본 영화산업에서의 흥행 지형도-수입 점유의 다원화 경향과 만화 원작 영화의 흥행을 중심으로-
- 친일영화의 특징 연구
- 동일시 이론의 관점에서 본 영화의 초점화 양상 연구
- 텔레비전 예능의 뉴 패러다임-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여가의 발견-
- 다르덴 형제의 영화 공간 연구
-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이차 프레임 연구
- Modification of the Method for Screen Acting Considering Korean Sense and Sensibility
- 영화에서 “틈(隙)”에 대한 공간연구-봉준호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 한국 공포영화의 장르관습의 변화 연구-<월하의 공동묘지> <여고괴담> <화이트-저주의 멜로디>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현대 한국 실험영화 생산주체의 고유성 탐구-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0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