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공포영화의 장르관습의 변화 연구-<월하의 공동묘지> <여고괴담> <화이트-저주의 멜로디>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of Genre Convention of Korean Horror Film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
and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최두영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1호, 225~2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For a long period of time, Korean horror movies have been transformed and evolved as a category of the minor genre. However, Korean horror films have been experiencing a crisis since 2010.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risis currently existing in Korean horror movies and to prospects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horror films. To discuss the crisis, there are two possible approaches.
One is an analysis on industrial backgrounds of horror films and the other is an analysis on aesthetic and cinematic quality of the movies. This writing analyzes and studies the latter.
The reason why the latter was chosen as a study topic is because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and studies on Korean industrial backgrounds, while horror as an aesthetic film genre with its own cinematic quality has not been fully vocalized.
The aesthetic trait of the horror film can be found in genre. The genre is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tory’ and ‘style’. While it is possible to classify all the movies into certain genres, horror movies can be more apparently defined into its genre. Therefore, this writing seeks for aesthetics and cinematic quality of horror movies by observing the historical transitions of the films. In order to achieve it, this research divided the history of Korean horror films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changes of Korea horror films, selected three movies which represent the each period, and articulated the process of how these three film has been evolved.
First, , (1967, Kwon, Chil-Hwi) fashions an archetype of an Korean horror through the scary story of ‘taxi’ and the style of its main character Yeogw’ or a female ghost. Thus, from 1960’s to 1970’s, Korean horror movies conventionally depicted a revenge of Yeogwi, a female ghost, who faces ‘melancholy’ ‘Jealous’ and ‘conspiracy.’
Second, “Whispering Corridors,” (1998, Park Gi-Hyeong) evolved from traditional Korean horror movies, introduces a new ‘monster’ replacing traditional Yeogwi, a female ghost, illuminating the social pressure in ‘a highly competitive grade-oriented society’ stemming from a scary story of schools. Due to this evolution of Korean horror films in 21st century displayed a rapid development and growth.
Third, (2011, Kim, Gok and Kim, Sun) was not an exemption from the risk Korea horror films was experiencing. Despite of “idol girl group,” the new, fresh subject matter, it didn’t get enough support from both critics and audience. Through an analysis on the root causes of the crisis on Korea horror movies could be possibly identifi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이후 일본 영화산업에서의 흥행 지형도-수입 점유의 다원화 경향과 만화 원작 영화의 흥행을 중심으로-
- 친일영화의 특징 연구
- 동일시 이론의 관점에서 본 영화의 초점화 양상 연구
- 텔레비전 예능의 뉴 패러다임-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여가의 발견-
- 다르덴 형제의 영화 공간 연구
-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이차 프레임 연구
- Modification of the Method for Screen Acting Considering Korean Sense and Sensibility
- 영화에서 “틈(隙)”에 대한 공간연구-봉준호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 한국 공포영화의 장르관습의 변화 연구-<월하의 공동묘지> <여고괴담> <화이트-저주의 멜로디>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현대 한국 실험영화 생산주체의 고유성 탐구-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0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