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챙김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탈중심화, 수용의 매개효과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이용수 15
- 영문명
-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and Acceptanc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Happines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6권 제3호,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와 수용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305명의 부산경남지역 온라인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척도, 탈중심화 척도, 수행-행동 척도, 행복감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21, AMOS18,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상관분석,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분석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와 수용이 각각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음챙김이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탈중심화와 수용 각각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마음챙김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와 수용의 매개 역할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긍정 정서와 행복감을 향상하기 위한 심리적 개입으로서 마음챙김의 적용 가능성과 그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Mindfulness has been widely recognized for its beneficial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the specific mechanisms through which it influences positive outcomes like happiness remain underexplor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and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happines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305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Mindfulness Scale, Decentering Scal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and Happiness Sca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model, in which decentering and acceptance act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happiness, showed significanc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influences happiness indirectly through decentering and acceptance, rather than having a direct eff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diating roles of decentering and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happiness. It highlights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mindfulness a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Furthermore, it emphasizes its potential to enhance positive emotions and happines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