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활용 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I-Enhanced Counseling Intervention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강지연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6권 제3호, 47~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증가와 전문가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상담이 혁신적인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AI를 활용한 상담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Wood and Mayo-Wilson의 PICOS 기준을 적용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구글학술검색을 통해 국내에서 수행되어 국내외 학술지 등에 발표된 관련 연구들을 수집하였으며, '인공지능', 'AI', '상담', '챗봇' 등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0편의 연구에서 54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동질성 검증 결과 Q값 242.02(p<.001), I²값 78.10으로 이질성이 높아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313(95% CI: .208-.417)으로 중간 이하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효과성 요인별로는 진로인식(1.638)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ADHD 관련 요인(.266), 우울·스트레스(.263), 긍정정서·정신건강(.192), 사회정서(.154), 불안·공황(.118) 순으로 나타났다. AI 기술 유형별로는 AI투닝(4.147)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Humanoid 로봇(.399), LLM(.378), ChatBot(.153) 순이었다. 연령대별 분석에서는초·중등학생(.718)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장년-노년기(.341), 대학생(.144) 순으로 나타났다. 회기별로는 5-10회 적용 시 1.638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AI 기반 상담이 정신건강 서비스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진로상담 영역과 초·중등학생 대상에서 높은 효과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개인화된 AI 시스템 개발과 연령대별 차별화된 접근 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s mental health problems increase and the shortage of professionals becomes more severe in modern society, AI-enhanced counseling is gaining attention as an innovative solution.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systemat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I-enhanced counseling. Using the PICOS criteria by Wood and Mayo-Wilson, we collected relevant studies conducted domestically and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Google Scholar, using search term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unseling', and 'chatbot'. Finally, 54 effect sizes from 10 studi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an overall mean effect size of .313, indicating a small to medium effect size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effectiveness factors, career awarenes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1.638), followed by ADHD-related factors (.266), depression and stress (.263), positive emotions and mental health (.192), social-emotional factors (.154), and anxiety and panic (.118). By AI technology type, AI tuning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4.147), followed by Humanoid robots (.399), LLM (.378), and ChatBot (.153). Age group analysis reveale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718), followed by middle-aged to elderly adults (.341) and university students (.144). By session frequency, 5-10 sessions showed the most effectiveness with an effect size of 1.638. These results suggest that AI-based counseling can be a useful tool in mental health services, particularly showing high effectiveness in career counseling an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Futur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AI systems and the need for age-specific differentiated approach strategies are recommended.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