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센터 가족상담서비스의 공공성 개념 정립과 정책 실천 전략: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Establishing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Family Counseling Services at Family Centers and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발행기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저자명
강복정
간행물 정보
『청소년상담학회지』제6권 제3호, 27~4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족구조 변화와 정서적 복지 수요 증대에 대응하여, 가족상담서비스의 공공성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이를 실현할 정책적·실천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가 효과성 검증이나 개별프로그램 운영에 치중한 데 비해, 본 연구는 공공성을 주체성·과정성·내용성의 삼분 구조로 체계화하고 이를 제도적·실천적 전략으로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고찰과 정책·연구자료분석을 실시하여 「건강가정기본법」,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조사 및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상담서비스의 공공성은 주체성, 과정성, 내용성의 여섯 가지 요소로 정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공공성 제고, 접근성 개선, 홍보 강화, 프로그램 운영 개선, 정책 지원, 협력 거버넌스 구축, 상담 품질 관리, 다양한 가족 지원, 사회적 책임 수행, 성과평가 정비 등 10대 전략을 도출하였다.이 전략들은 가족상담서비스를 단순한 민간 심리지원이 아닌 정서 회복과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국가 복지체계의 핵심 공공재로재정립하기 위한 실행 지침으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the publicness of family counseling services in response to family structure changes and increasing emotional needs, and to propose policy and practical strategies. Unlike prior research focused on effectiveness or programs, this study applies a tripartite framework of publicness—subjectivity, process, and content—developing it into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trategies. Using literature review and policy analysis of key documents, including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the 4th Basic Plan on Healthy Families, and related surveys, the study identified six elements of publicness. From this framework, ten strategic directions were derived: enhancing responsibility, improving accessibility, raising public awareness, refining programs, strengthening institutional support, building governance, ensuring quality, expanding support for diverse families,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advancing outcome-based evaluation. These strategies highlight family counseling as a core public asset within the welfare system, offering both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policy and service improvement.

목차

I. 서론
Ⅱ. 가족상담서비스 관련 정책 분석
Ⅲ. 가족상담서비스의 공공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Ⅳ. 가족센터 가족상담서비스 공공성의 실천 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복정. (2025).가족센터 가족상담서비스의 공공성 개념 정립과 정책 실천 전략: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학회지, 6 (3), 27-45

MLA

강복정. "가족센터 가족상담서비스의 공공성 개념 정립과 정책 실천 전략: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학회지, 6.3(2025): 27-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