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수요가 연계된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비교과프로그램 가이드 개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ing an Extracurricular Program Guide for Curricula Connected to Social Demands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최헌철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2권, 113~1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진출 분야 및 사회수요가 연계된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비교과프로그램 개발 가이드를 마련하여 역량기반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및 교양․전공교육과정 비전체계 및 발전계획, 대학‧교양‧전공 교육과정 차원에서 PEST분석,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실태 분석 결과를 ADDIE 모형에 기반하여 프로그램 가이드를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 대학‧교양‧전공교육과정의 비전체계 및 발전계획과 사회수요가 연계된 비교과프로그램 가이드를 개발함으로써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학생 중심의 구체적인 교육 경험 제공,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와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 반한 교육 강화, 비교과교육의 절차적 타당성 확보를 통한 비교과의 질 관리 등 학생 개인의 역량 강화뿐 아니라, 미래사회 수요 역량 강화, 진로 연계성 확대,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육성과 관리, 교육의 책무성 제고, 공동체 의식 함양 등 다방면의 교육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velopment guide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support curricula linked to career pathways and societal demands, thereby proposing concrete strategie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ystem and development plans of university, liberal arts, and major curricula; conducted a PEST analysis at the university, liberal arts, and major level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 program development guide was designed using the ADDIE model.
[Conclusions] As a result, The study developed an extracurricular program guide that connects university, liberal arts, and major curricula with societal demand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uide enhances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xperiences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strengthens institutional competitiveness, and fosters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future talent development. Furthermore, it ensures the procedural validity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for quality assurance. The expected educational outcomes include not only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student competencies but also the strengthening of future-oriented skills required by society, expansion of career relevance, promotion of continuous self-development, systematic management of educational outcomes, enhancement of accountability, and cultiv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