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톨릭교회 가르침에 따른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at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atholic Church Teachings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원형준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82권, 83~1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가톨릭교회 가르침에 따른 아버지 교육의 방향을 규명하기 위해 교회 문헌‧국내 프로그램 검토와 부산교구 성요셉 아버지학교 참여 경험을 종합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2025년 3–5월 교회 문헌과 국내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부산교구 성요셉 아버지학교에 참여‧봉사한 가톨릭 기혼 남성 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집단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기록을 전사하고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개방코딩–축코딩–선택코딩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핵심범주로 ‘신앙 공동체 경험을 매개로 한 가족 중심적 아버지상 재정립과 관계 회복’이 도출되었다. 이야기선은 과거 권위‧침묵 중심 스크립트의 균열이 아버지학교의 의례와 과제(편지쓰기, 세족례, 축복기도, 나눔)를 통해 정서‧행동 전략으로 전환되고, 이를 가정 일상에 적용함으로써 개인–가족–공동체 차원의 재정렬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결론] 참가자들은 교회가 제시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다. 아버지학교는 그 공백을 메우는 체험적 매개로 작동했다. 가톨릭교회 아버지상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이었으나 감정표현의 일상화‧정착화‧솔선수범 등 행동․관계 변화가 뚜렷하였다. 이에 따라 교리-실천 통합 모듈, 교구 가정사목 비전에 정렬된 아버지학교 비전–목표–전략 체계, 후속 프로그램 및 모임‧보수교육‧동료 네트워크 등 지속화 장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delineates directions for father education consistent with Catholic teaching by synthesizing Church documents, reviews of domestic programs, and an integrated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the St. Joseph Father School in the Diocese of Busan. [Contents] From March to May 2025, we reviewed Church documents and Korean father-education programs and collected data through a semi-structured focus-group interview with eight Catholic men who had participated in or volunteered for the St. Joseph Father School in the Diocese of Busan.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procedures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The analysis yielded a core category-“the reconstitution of a family-centered model of fatherhood and relational repair mediated by faith-community experience.” The storyline delineates how cracks in authority-and silence-centered paternal scripts were transformed, via the school’s rituals and tasks (e.g., letter writing, foot-washing, blessing prayers, and small-group sharing), into emotional and behavioral strategies that, when applied in daily family life, produced a multi-level realignment across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Conclusions] To sustain and scale change, we propose doctrine-practice integrated modules, a vision-goals-strategy architecture for father education aligned with diocesan family ministry, and maintenance mechanisms-follow-up programs, refresher training, and peer networks-embedded at parish and diocesan level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형준. (2025).가톨릭교회 가르침에 따른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관한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 83-112

MLA

원형준. "가톨릭교회 가르침에 따른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관한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2025): 8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