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승려원격연수의 운영실태, 만족도, 참여도, 효과성 인식, 개선과제에 대한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Factor Analysis of Buddhist Monastic Distance Education: Exploring Operational, Perceptual, and Improvement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한광현(청라) 장세진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2권, 57~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승려원격연수를 불교계 전문가 계속교육(CPE)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해당 연수가 지닌 구조적 특성과 운영상의 핵심 요인을 분석하여, 실천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운영실태, 만족도, 참여도, 효과성 인식, 개선과제 등 다섯 영역에 대한 스님들의 인식을 탐색하고, 항목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2023년 조계종 법계 원격연수 참여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운영실태, 만족도, 참여도, 효과성 인식 등 네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만족도와 참여도는 효과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개선과제와 관련된 문항은 빈도분석을 통해 주요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이어서 R 프로그램을 활용한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법(MDS)을 통해 응답자들의 인식 유형이 다섯 개 군집으로 구조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승려원격연수는 직무훈련 이상의 의미가 있으며, 불교 지도자의 수행성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계속교육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참여도와 만족도가 효과성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감성적 몰입과 실천적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학습 전략의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군집분석 결과, 응답자들의 개선 요구가 다섯 개 유형으로 구조화됨에 따라, 성별, 연령, 수행경력 등 이질성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설계와 하이플렉스 기반의 유연한 운영 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이는 불교계 원격연수의 질적 개선과 정책 수립에 실천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re-examines remote training for Buddhist monks as lifelong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Buddhist community. It analyzes program structure and key operational factors to suggest improvements, exploring monks' perceptions on program management, satisfaction, participation, effectiveness, and areas for improvement,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Contents] In 2023, a survey of 150 Jogye Order remote training participants examined four factors: program management,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perceived effectiveness. Exploratory fact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effectiveness. Key improvement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revealed five distinct perception groups among respondents.
[Conclusions] Remote training for Buddhist monks should support lifelong learning and leadership development, not just occupational skills.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trongly influence perceived effectiveness, highlighting the need for engaging, practical teaching strategies. Five types of improvement needs emerg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lexible, tailored programs that reflect participant diversity. The findings offer concrete guidance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policies of Buddhist remote training program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나오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