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부모애착 불안전성이 후기청소년 남성의 인터넷음란물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의 순차매개모형
이용수 0
- 영문명
- Insecure Early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mong Post-Adolescent Males: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 발행기관
- 한국발달지원학회
- 저자명
- 오지연 안하얀
- 간행물 정보
-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2호, 121~1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남자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불안전 초기부애착/모애착과 인터넷음란물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의 순차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상에서 음란물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19세~24세의 남자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전 초기부애착/모애착 모두 인터넷음란물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 조절력의 순차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개별 경로를 살펴보면, 불안전 초기부애착/모애착 모두 인터넷음란물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유능성의 단독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기조절력의 단독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때, 불안전 초기‘부애착’이 인터넷음란물중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불안전 초기‘모애착’이 인터넷음란물중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합하여 남자후기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중독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주요 환경변인(불안전 초기부모애착)과 개인변인(대인관계유능성, 자기조절력)을 설정하고, 부애착과 모애착의 영향을 구분하여 인터넷음란물중독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early paternal/maternal attachment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in post-adolescent male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males aged 19 to 24 who had viewed pornography online and analyzed data from 307 participa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early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was significant. When examining the outcomes of each pathwa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lone was not significant, while self-regula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dditionally, insecure early paternal attachment showed a direct effect on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whereas insecure early maternal attachment did not.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건부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SNS 상향비교의 매개효과와 SNS 사용 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동반된 우울증상에 대한 행동활성화의 효과 : 메타분석
- 초기부모애착 불안전성이 후기청소년 남성의 인터넷음란물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의 순차매개모형
- 노화에 대한 기대와 노인차별과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경험이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 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 모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와 그릿(Grit)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