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화에 대한 기대와 노인차별과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nd ageism
- 발행기관
- 한국발달지원학회
- 저자명
- 장희순
- 간행물 정보
-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2호, 103~11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화에 대한 기대, 노화불안, 노인차별의 관계를 확인하고, 노화에 대한 기대와 노인차별과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Y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03명이었다.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들은 SPSS 22와 SP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에 대한 기대는 노화불안, 노인차별과 유의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고, 노화불안은 노인차별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화에 대한 기대와 노인차별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화에 대한 기대는 직접적으로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노화불안의 영향을 통해 간접적으로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차별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개입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expectations, aging anxiety and ageism,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expectations and ageism.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03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Y University in Gyeonggi-do.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 and SPSS Macro Model 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s about ag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both aging anxiety and ageism, while aging anxiety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geism. Second, ag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about aging and ageism. In other words, expectations about aging directly influenced ageism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ging anxi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nterventions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ageism. Additionally,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건부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SNS 상향비교의 매개효과와 SNS 사용 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동반된 우울증상에 대한 행동활성화의 효과 : 메타분석
- 초기부모애착 불안전성이 후기청소년 남성의 인터넷음란물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의 순차매개모형
- 노화에 대한 기대와 노인차별과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경험이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 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 모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와 그릿(Grit)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