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3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Job-Seeking Anxiety
발행기관
한국발달지원학회
저자명
신승민 김은석 이재연 한지은 송상현 권소현
간행물 정보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2호, 23~3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33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 간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진로장벽이 더 높다고 지각하기 때문에 진로준비행동에 착수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한편,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 자체에 의해 유발된 취업불안이나 진로장벽이 높다고 인식함으로써 유발된 취업불안을 경험할 때는 이에 대처하기 위해 반대로 진로준비행동이 촉진되는 이중적인 영향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이 진로준비행동에 전념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과도한 지연행동이나 불안에 쫓긴 과다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진로장벽 인식 수준과 취업불안 수준을 현실적인 수준으로 조정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job-seeking anxiety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Pa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performed using 333 collected data, and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job-seeking anxiety was 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s that as the tendency fo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they perceive career barriers as higher, which leads to challenges in initia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the other hand, when experiencing job-seeking anxiety induced by thei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tic tendencies or by perceiving career barriers to be high, the opposite effect was found to occur, whereby promoted in order to cope. Therefore, to assist them, it is essential to help them adjust their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and job-seeking anxiety to realistic levels, preventing excessive procrastination or anxiety-driven behavior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승민,김은석,이재연,한지은,송상현,권소현. (2025).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14 (2), 23-38

MLA

신승민,김은석,이재연,한지은,송상현,권소현.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14.2(2025): 2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