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동반된 우울증상에 대한 행동활성화의 효과 : 메타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comorbid depression : A meta-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발달지원학회
- 저자명
- Shin Hyoung Choi Chang Kyo Hong Sung Won Jung Hoon Jung Koo
- 간행물 정보
-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2호, 73~10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동반된 우울 증상에 대한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 BA)의 효과크기를 종합하고, PTSD에 대한 BA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4년까지 해외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중 기준을 충족한 13편의 연구(무선통제연구 4편, 비무선통제연구 9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총 725명의 외상 경험자를 포함하였다. R 프로그램을 활용한 랜덤효과모형으로 적용한 메타분석 결과, PTSD 증상에 대한 BA의 평균 효과크기는 -. 804 (95% Cl: -. 96~-. 54, p < . 001)로 나타났으며, trim-and-fill 분석 후에도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 -. 685 (95% Cl: -. 86~-. 51)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우울 증상에 대한 BA의 효과크기 또한 -. 716 (95% Cl -. 92~-. 52 p < . 001)로 유의하였으며, trim-and-fill 분석 후에도 효과크기는 -. 521 (95% Cl: -. 73~-. 31)로 나타나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확인하였다. 외상유형, 무선통제연구 여부, 치료 유형, 공병여부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여, 외상을 경험한 PTSD 증상군의 PTSD와 우울 증상에 대한 BA의 효과크기를 차이를 분석하였으나, 각 조절변인에 따른 BA의 효과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 size of Behavioral Activation (BA)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and comorbid depressive symptoms, and to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BA for PTSD. For this purpose, 13 studi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between 2006 and 2024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4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9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analyzed, including a total of 725 trauma-exposed participants. A random-effects model meta-analysis using R revealed that the mean effect size of BA for PTSD symptoms was –.804 (95% CI: –.96 to –.54, p < .001). After trim-and-fill analysis, the effect size remained moderate at –.685 (95% CI: –.86 to –.51). For depressive symptoms, the effect size of BA was –.716 (95% CI: –.92 to –.52, p < .001), and remained moderate after trim-and-fill adjustment (–.521, 95% CI: –.73 to –.31). Modera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rauma type, study design (randomized vs. non-randomized), treatment type (BA alone vs. combined with other treatments), and comorbidity status (PTSD alone vs. PTSD with depress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 size were found across these moderators.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icacy of BA in reducing both PTSD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key clin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건부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SNS 상향비교의 매개효과와 SNS 사용 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지각된 진로장벽과 취업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동반된 우울증상에 대한 행동활성화의 효과 : 메타분석
- 초기부모애착 불안전성이 후기청소년 남성의 인터넷음란물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의 순차매개모형
- 노화에 대한 기대와 노인차별과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경험이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 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 모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와 그릿(Grit)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