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외(疏外)와 고(苦): 마르크스주의와 불교의 자연-인간(사회) 관계 비판과 대안적 이해

이용수  3

영문명
Alienation and Suffering: Marxist and Buddhist Critiques and Alternatives on the Nature–Human (Society) Relationship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이명호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17권 제1호, 128~163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마르크스주의의 ‘소외’ 개념과 불교의 ‘고(苦)’ 개념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과 자연, 사회 간의 단절과 고통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대안적 관계론을 모색한다. 마르크스는 노동자가 생산물, 노동 과정, 타인, 인간 본성으로부터 소외되는 현상을 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로 진단한다. 이는 자연과 인간의 물질대사 균열로 확장되어 생태위기의 근원을 설명한다. 생태사회주의적 관점은 마르크스 사상을 재해석하여 자연소외 개념과 기후위기를 연결하고, 자본주의 체제 전환을 요구한다. 한편, 불교는 괴로움을 단순한 개인의 심리적 고통이 아닌, 연기적 관계망 속에서 발생하는 사회적·구조적 현상으로 본다. 불교의 사성제와 연기론은 고통의 원인을 탐욕, 성냄, 무명이라는 삼독에서 찾으며, 괴로움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생태적 관계의 파괴에서 비롯된 공동의 문제로 해석한다. 불교의 우주론은 중생세간과 기세간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며, 인간의 행위(업)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생태윤리를 구성한다. 이 연구는 마르크스주의와 불교가 각각 정치경제적 분석과 윤리적 성찰이라는 상이한 출발점을 가지지만, 인간 해방과 고통 극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지닌다고 본다. 양자는 자본주의가 초래한 인간·자연의 단절을 비판하며, 생태위기를 ‘사회적 괴로움’으로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실천적 대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불교와 마르크스주의의 사유를 접목하여 자본주의적 삶의 구조와 세계관을 전환하고, 자연-인간(사회) 관계의 회복과 생태적 전환을 위한 새로운 실천 패러다임을 제안한다. 연기법과 물질대사 균열 개념을 통해 사회적 고통의 근원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 기반의 생태공동체 형성과 마을주권 개념을 중심으로 한 탈자본주의적 전환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복합위기에 대응하는 대안 이론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tructural disconnection and suffering between human beings, nature, and society in capitalist systems through the concepts of alienation in Marxism and suffering (dukkha) in Buddhism, while proposing an alternative relational worldview. Marx identifies alienation as a structural issue inherent in capitalism, manifesting in the worker’s estrangement from their product, labor process, fellow humans, and human essence. This alienation extends to a metabolic rift between humans and nature, providing a foundational explanation for contemporary ecological crises. From an eco-socialist perspective, Marx’s theories are reinterpreted to connect the concept of natural alienation with the climate crisis, ultimately calling for a systemic transformation of capitalism. Conversely, Buddhism views suffering not merely as an individual psychological experience, but as a socio-structural phenomenon arising within a web of dependent co-arising (緣起論). The doctrine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dependent co-arising understand the origins of suffering to be the 'three poisons' of greed, hatred and ignorance, and frame suffering as a collective problem rooted in the breakdown of social and ecological relationships. The Buddhist cosmology, through the interdependence of sentient and environmental realms (衆生世間 & 器世間), establishes a basis for ecological ethics that consider the karmic impacts of human actions on the ecosystem. While Marxism and Buddhism stem from different traditions—political economy and ethical introspection—they converge on a shared goal of human liberation and the alleviation of suffering. Both critique the alienation and fragmentation brought about by capitalism, interpret the ecological crisis as a form of social suffering, and offer practical pathways toward overcoming it. Ultimately,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Marxist and Buddhist thought to transform capitalist modes of existence and worldview, and to propose a new paradigm for ecological transition and the restoration of nature–human (society) relations. By structurally analyzing the roots of social suffering through the lens of dependent co-arising and the metabolic rift, it advocates for a post-capitalist transition centered on the formation of ecological communities and the concept of communal sovereignty, offering a meaningful alternative theory in response to the complex crises of our time.

목차

Ⅰ. 서론
Ⅱ. 소외와 고(괴로움)의 이해
1.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소외 이해
2. 불교의 고(괴로움) 이해
3. 마르크스주의와 불교의 접점: 사회적 고통과 해방Ⅲ. 자본주의와 위기
1. 자본주의적 소외의 확장과 물질대사 균열
2. 인류세와 자연-인간 관계의 단절
Ⅳ. 자연-인간(사회)의 관계 재구성
1. 불교와 마르크스주의의 대안적 관계론
2. 생태적 전환을 위한 실천적 대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호. (2025).소외(疏外)와 고(苦): 마르크스주의와 불교의 자연-인간(사회) 관계 비판과 대안적 이해. 불교와 사회, 17 (1), 128-163

MLA

이명호. "소외(疏外)와 고(苦): 마르크스주의와 불교의 자연-인간(사회) 관계 비판과 대안적 이해." 불교와 사회, 17.1(2025): 128-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