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명 의료에 대한 불교적 접근

이용수  0

영문명
A Buddhist Approach to Life-Sustaining Care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김민자(선오)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17권 제1호, 102~127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평균 수명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하여 자신의 늙음, 병듦 그리고 죽음을 어떻게 인지하고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하여 고민하는 노인들이 많다. 웰 다잉(well-dying)은 자신의 죽음을 존엄하게 받아들이고, 인간답게 죽을 권리와 가치 있는 죽음을 맞이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명 의료는 고령화 사회의 핵심 쟁점이 된다. 연명 의료는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에게 하는 의학적 시술로서, 치료 효과 없이 임종 기간만을 연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는 삶과 죽음을 포함한 모든 인간의 모습(相)의 근본이 되는 체(體)를 자신의 마음으로 설명한다. 모든 현상은 자신의 마음이라는 것과 그 마음은 변하지 않는 진(眞)과 망(妄)이 함께 있다는 것을 체득하는 것은 지관(止觀) 수행을 통해서 가능하다. 삶의 목표가 지관(止觀) 수행을 통한 불교의 해탈에 있다면 앞으로 겪어야 할 자신의 죽음에 대해서 명료한 가치 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죽음의 과정에서 신체적·정신적 고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죽음이후에 대한 걱정과 불안으로 압도 당한다. 이러한 고통과 불안 그리고 걱정에 대해 대승불교는 부처님과 보살님들에 대한 믿음으로 지혜롭게 죽음을 맞이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불교는 아라한 혹은 깨달은 사람이 아닌 이상 또 다른 환생을 말한다. 죽음으로 인한 가족을 떠나보내야 하는 이별의 슬픔은 윤회라는 또 다른 만남의 기쁨으로 대치된다. 그리고 연명 치료로 인한 경제적 비용의 증가는 연명 의료 결정의 중요한 판단 요인이다. 지관(止觀) 수행은 이별과 죽음이라는 복잡한 감정의 상태와 경제적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연명 의료 결정을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Korea, many elderly people are concerned about how to perceive and accept their old age, sickness, and death due to the increase in average life expectancy and aging. Well-dying means accepting one's death with dignity and wanting to die like a human being and to die worthwhile. Life-sustaining treatment becomes a key issue in an aging society. Life-sustaining treatment is a medical procedure for patients on the verge of death, and means extending only the period of death without treatment effect. Buddhism explains with one's own mind the Substance(眞) that is the basis of all human Phenomena(相), including life and death. It is possible through the śamatha-vipaśanā practice(止觀) to learn that all phenomena are one's mind and that the mind is with the immaculate character(眞) and the unimmaculate character(妄). If the goal of life is the Buddhist enlightenment(nirvana) through the śamatha-vipaśanā practice(止觀), it can be made with a clear value judgment for one's own death to suffer in the future. Also, most people are not free from physical and mental pain in the process of death, and are overwhelmed with worry and anxiety about after death. Regarding these pains, anxieties, and worries, Mahayana Buddhism suggests that you can die wisely by trusting in Buddhas and Bodhisattvas. Buddhism refers to another reincarnation unless you are an Arahan or an enlightened person. The sadness of separation from family because of death is replaced by the joy of another meeting called reincarnation. In addition, the increase in economic costs due to life-sustaining treatment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śamatha-vipaśanā practice(止觀) can be a way to wisely cope with life-sustaining medical decisions in the complex emotional state of separation and death and in situations where the financial burden i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명 의료 의미와 연명 의료 결정 과정
Ⅲ. 사전 연명 의료 결정과 불교
Ⅳ. 임종과정에서 연명 의료 결정 과정과 불교
Ⅴ. 환자 가족의 연명 의료 결정 과정과 불교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자(선오). (2025).연명 의료에 대한 불교적 접근. 불교와 사회, 17 (1), 102-127

MLA

김민자(선오). "연명 의료에 대한 불교적 접근." 불교와 사회, 17.1(2025): 102-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