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armony Unveiled: Exploring the Convergence of Buddhism and Scientific Thought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저자명
- 비비크 모르야
- 간행물 정보
- 『불교와 사회』제17권 제1호, 36~101쪽, 전체 6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10,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traditions and modern scientific thought has captured widespread interest, often framed through narratives emphasizing inherent compatibility and harmony. However, such portrayals frequently overlook significant philosophical, methodological, and historical complexities, particularly points of divergence, tension, and conflict. This paper addresses these complexities by undertaking a methodologically grounded comparative analysis. It moves beyond simplistic claims of convergence to critically examine both areas of productive dialogue and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specific Buddhist concepts and relevant scientific frameworks. Adopting a methodology informed by Comparative Philosophy, this analysis explicitly defines its comparative framework and acknowledges the historical influence of “Buddhist Modernism”—a narrative that has often privileged compatibility while marginalizing points of friction. The paper systematically explores areas of apparent resonance, including epistemological parallels and conceptual echoes like interdependence, subjecting them to critical scrutiny. Crucially, it then delves into significant points of divergence and conflict, focusing on metaphysical divides concerning consciousness and materialism, the challenges posed by scientific perspectives to doctrines like rebirth and karma, differing interpretations of 'no-self' (anattā), and fundamental differences in ultimate aims and values. By synthesizing these findings, the paper argues for a more complex, multi-layered understanding of the Buddhism-science relationship, acknowledging both resonance and irreducible difference. The objective is not to adjudicate between the traditions but to foster a more nuanced, historically sensitive, and methodologically self-aware dialogue that appreciates the intricate and often challenging nature of their interaction.
영문 초록
불교 전통과 현대 과학 사상의 관계는 본질적인 조화와 합치를 강조하는 서사를 통해 널리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서술은 철학적·방법론적·역사적 복잡성, 특히 불일치, 긴장, 갈등의 지점을 종종 간과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복잡성을 다루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근거 있는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단순한 합치 주장에 머무르지 않고, 특정 불교 개념과 관련 과학적 틀 간의 생산적인 대화 영역과 근본적인 차이 모두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비교철학(Comparative Philosophy)에 기반한 방법론을 채택하여 비교의 틀을 명확히 규정하고, 조화를 우선시하면서 마찰 지점을 소외시켜온 서사인 ‘불교 근대주의(Buddhist Modernism)’의 역사적 영향을 인식한다. 논문은 상호 의존, 인식론적 유사성 등 표면적 공명 영역을 체계적으로 탐색하되,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나아가 의식과 유물론을 둘러싼 형이상학적 분열, 윤회와 업(karma) 교리에 대한 과학적 관점이 제기하는 도전, 무아(anattā)에 대한 상이한 해석, 궁극적 목표와 가치관의 근본적 차이 등 중요한 불일치와 갈등의 지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본 논문은 불교와 과학의 관계를 공명과 극복 불가능한 차이를 모두 인정하는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시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두 전통 간의 우열을 가리려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상호작용이 지닌 복잡하고 때로는 도전적인 성격을 이해하고, 역사적으로 민감하며 방법론적으로 자각적인 보다 정교한 대화를 촉진하는 데 있다.
목차
I. Introduction
II. Navigating the Dialogue: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Historical Context
1. The Challenge of Comparison: Defining Terms and Avoiding Pitfalls
2. Adopting a Comparative Philosophy Framework: Rationale and Critical Use of Typologies
3. Historical Context: The "Scientific Buddhism" Narrative and Its Critical Reassessmen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armony Unveiled: Exploring the Convergence of Buddhism and Scientific Thought
- 호국불교의 새얼굴, 호국대전의 미래를 위한 제언
- 『구사론』의 소속 부파에 대한 고찰: 담혜(湛慧)와 쾌도(快道)의 견해를 중심으로
- 연명 의료에 대한 불교적 접근
- 서간문에 나타난 출가 초기 법정의 사상 고찰: 『마음하는 아우야』를 중심으로
- 소외(疏外)와 고(苦): 마르크스주의와 불교의 자연-인간(사회) 관계 비판과 대안적 이해
- 대한불교관음종의 종헌 변천 연구: 종무권한 분석을 중심으로
- 모태신앙 문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불교의 대응 전략: ‘법연신앙’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불교신도의 종교적 믿음과 낙관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