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ocial Construction of Discourse on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 Analysis Informed by Text Mining of News Repor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양연동 서한별 지항수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5권 제2호, 71~1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계선지능’으로 이해되는 학습자 범주가 언론 보도에서 어떻게 의미화되고 있으며, 관련 담론이 어떤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구성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24년까지 수집된 뉴스·보도자료 1,571건을 구조적 토픽모델링(Structural Topic Modeling) 기법으로 분석하고, 토픽에 할당된 기사 원문을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계선지능의 사회적 의미는 ‘학습부진아’, ‘의료화 대상’, ‘복지지원 대상’, ‘학교부적응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손상(impairment)’과 ‘사회적 장애(social disability)’라는 정체성을 재현하고 있었다. 두 정체성은 언론 보도 내에서 배타적으로 구분되기보다는 중첩되고 교차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으나, 정책과 제도는 이러한 복합적 정체성을 통합하지 못한 채 여전히 분절적인 대응에 머무르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지능이 단순한 심리학적 지표가 아니라, 사회적 분류와 배제를 가능하게 하는 통치 기술로 기능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특히, 경계선지능의 의미가 대중 담론 속에서 인지적 손상으로 순환하고 있는 현재, 그 범주가 개인 내부의 본질적 특성이 아니라, 정상성에 의해 구성된 사회적 산물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적 정책 시사점을 제안하고 교육사회학적 성찰의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learner category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s constructed in news reports and what soci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t produces. A total of 1,571 news articles and press releas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24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nd the original texts assigned to each topic were qualitatively interpre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ocial meanings attributed to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cluded categories such as "underachieving student," "object of medicalization," "welfare recipient," and "school maladjusted student." These meanings ultimately reproduced the identities of "impairment" and "social disability." These two identities, rather than being exclusively distinguished within news reports, appeared in overlapping and intersecting ways; however, policies and institutional responses remained fragmented, failing to integrate such complex identities. Ultimately, this study reveals that intelligence functions not merely as a psychological indicator but as a technology of governance enabling social classification and exclusion. In particular, it critically analyzes how the category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s it circulates within public discourse, is framed as an intrinsic cognitive impairment rather than as a socially constructed product shaped by norma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integrated policy directions and offers a foundation for sociological reflection withi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자료 분석 결과
Ⅴ.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구성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 대학 진학 선택의 불평등 실태와 변화: 재수·반수 선택의 계층화를 중심으로
-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2010년~2023년 KCI 등재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