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이용수 0
- 영문명
- “A Detour to Prestige”: Narratives of Credentialism among the Regional Campus Graduates of an Elite University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김민정 최성수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5권 제2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은 상징자본으로서의 학벌과 공간적 위계가 교차하는 학벌 구조의 경계에 놓이며, 이 지점에서 학벌주의의 구조적 긴장과 모순을 반복적으로 경험한다. 본 연구는 이들의 서사를 통해, 동시대 한국 사회의 학벌주의적 맥락 속에서 이 집단이 경험하는 정체성의 갈등과 학벌 담론과의 긴장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세대학교 지역 분교 졸업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이들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상징자본과 공간적 위계가 중첩된 학벌 체계의 경계적 위치에서 ‘분열된 아비투스(cleft habitus)’를 형성하며, 정체성의 균열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적 실천을 수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계급 중심으로 논의되던 분열된 아비투스 개념을 학벌주의적 위계 내 간접적 이동 경험으로 확장하며, 학벌 구조가 개인의 인식과 감정의 층위에 어떤 방식으로 스며들고 내면화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영문 초록
Graduates from the regional campuses of South Korea’s elite universities occupy an ambivalent position at the intersection of institutional prestige and spatial hierarchy. This marginal location subjects them to persistent structural tensions and contradictory experiences within the system of credentialism. We explore how these individuals make sense of identity struggles and negotiate tensions with dominant discourses of academic meritocrac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graduates from the regional campus of Yonsei University and employing an intrinsic case study approach, we analyze their narratives. The findings reveal that participants develop a cleft habitus as they navigate the overlapping structures of symbolic capital and spatial stratification, engaging in various strategic practices to manage identity fractures and meet social expectations. By applying the concept of cleft habitus to indirect and micro-level movements within the academic hierarchy—beyond conventional class-based mobility—our study expands the concept’s analytical scope. It also provides empirical insight into how the credentialist structure permeates individuals’ perceptions, emotions, and everyday practices, ultimately shaping their lived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 대학 진학 선택의 불평등 실태와 변화: 재수·반수 선택의 계층화를 중심으로
-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2010년~2023년 KCI 등재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