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urriculum Implementation Variation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School District: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eacher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김윤영 김정수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5권 제2호, 35~7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내 고자본 학군과 저자본 학군 모두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4인의 사례를 통해, 학군에 따라 학생들이 보유한 사회경제적·문화적 자본의 차이가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학군에 따라 학생들의 여가생활, 독서와 언어생활, 과목별 학업 수행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교사의 수업 준비, 실행, 평가 및 학급 운영, 학부모 상담 등 교육활동 전반에 실질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 특히 고자본 학군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준비도와 문화자본 수준이 높아 심화·탐구 중심의 창의성을 요구하는 수업이 가능했던 반면, 저자본 학군에서는 반복 학습, 기초학력 보충 중심의 수업이 주를 이루었고, 정서 지원과 생활지도가 교사들에게 중점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이 단순한 전달이 아니라 교사의 아비투스, 학생 자본 구조, 학부모 문화 등 다양한 맥락적 요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재구성되는 실천적 행위임을 강조하면서, 그간 교육격차 논의가 시설·제도 중심의 외적 자원에 머물러 있었던 한계를 넘어서, 교사 실천의 미시적 차이를 교육 불평등의 구조와 연결해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교사의 실천이 계층 간 격차를 중재하는 현장의 ‘행위 주체’로 기능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향후 교육격차 완화와 교사 지원, 교원 양성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s how differences in students’ socio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across school districts influe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practices. Drawing on cases of four teachers who have worked in both high-capital and low-capital school districts in Seoul, the research reveals that teachers recognize clear differences in students’ leisure activities, reading and language habits, and academic performance by subject, depending on the district. These differences significantly shape how teachers prepare, deliver, and assess lessons, manage classrooms, and communicate with parents. Specifically, in high-capital districts, students’ higher learning readiness and cultural capital enable creative, in-depth, and inquiry-based lessons. In contrast, teachers in low-capital districts tend to focus on repetitive practice, foundational skill reinforcement,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support.
This study underscores that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not a linear delivery process but a situated, practical act shaped by teachers’ habitus, students’ capital structures, and parental cultures. It argues that existing discussions on educational inequality have often been limited to external resources such as facilities and systems, overlooking micro-level variations in teacher practices. By highlighting teachers’ roles as active agents mediating structural inequalities in education, the study calls for greater recognition of teacher agency and offers insights for developing practical interventions to reduce educational disparities, support teachers, and inform teacher train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초등교사가 경험한 학군에 따른 학생 자본의 차이
Ⅴ.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활동 실행 방식의 변화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 대학 진학 선택의 불평등 실태와 변화: 재수·반수 선택의 계층화를 중심으로
-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2010년~2023년 KCI 등재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