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도덕 교육 방향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내러티브 정체성 교육의 가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Identity Education as a New Alternative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노진규 강현석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7권 제2호, 125~1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도덕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정체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전통적으로 도덕 교육은 학생들의 바람직한 품성과 인격 형성을 목표로 해왔으나, 현대 사회의 복잡성과 개인 정체성의 다원화 속에서 기존의 규범 중심 접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 교육의 목표를 재구성하고,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야기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서 도덕 교육을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도덕 교육과 관련하여 서사적 접근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새로운 교수학적 탐색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내러티브 정체성 교육의 방안으로 문화주의에 기반한 일상심리학, 그리고 여기서 작동하는 민간교수학을 중심으로 그 방법을 탐색해보았으며, 이 점이 기존 연구들과의 큰 차이점이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정체성은 학생이 자신의 삶의 경험을 해석하고 통합하는 과정 속에서 도덕적 자아를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도덕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은 인지, 정의, 행동을 통합하는 도덕성 발달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감정 이입과 행위 주체성, 도덕적 상상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narrative identity in seeking a new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raditionally, moral education aims to shape students’ desirable character and personality. However, with the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and the diversification of personal identities,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the existing normative-centered approach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and to understand it anew as a process where each student actively narrates and assigns meaning to their own life. There have been many narrative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but relatively little new didactic exploration has been done. This study explored the method of narrative identity education based on folk psychology and folk pedagogy, with a focus on culturalism, which represents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previous studies. The study’s results confirm that narrative identity plays a crucial role in forming a moral self as students interpret and integrate their life experiences. Through this, the narrative approach is shown to effectively promote moral development by integrating cognition, judgment, and action, while enhancing students' empathy, agency in action, and moral imagination.
목차
Ⅰ. 서론: 정체성 형성을 위한 도덕 교육
Ⅱ. 도덕 교육의 이론적 기반
Ⅲ. 도덕 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내러티브 정체성
Ⅳ. 내러티브 정체성의 도덕 교육적 함의: 민간교수학의 입장에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SDG12)을 위한 유아 업사이클링의 실행과 효과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