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헬레니즘 파이데이아’의 교육학적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An Educational Implication of Hellenistic Paideia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진현경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7권 제2호, 2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헬레니즘 파이데이아’를 서양 고대 교육의 원형으로 간주한 마루의 독특한 관점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루에 의하면,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적 문화로서의 ‘헬레니즘 파이데이아’는 ‘희랍 파이데이아’와 동일하거나 그에 미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헬레니즘 시대에 이르러 교육이 폴리스 ‘시민’으로서의 탁월성의 추구라는 집단주의적 성격에서 벗어나 순수한 의미로서 한 ‘개인’의 자아의 완성을 실현하는 통로로 정화되었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교육의 이 새로운 이상은 헬레니즘 시대에 이르러 고대 교육이 최초로 공적 영역에서 ‘정형적 체계’를 갖춤으로써 대제국 전체로 확산된다. 보다 심각한 것은, 그와 같은 문화의 확산 과정이 교과 교육에 내재된 종교적 측면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헬레니즘 파이데이아’의 교육학적 함의에 관한 고찰은 교과 교육 본연의 의미를 그 안에 깃든 모종의 종교성과 관련하여 새롭게 확인시켜 줄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ou’s unique perspective that considers ‘Hellenistic paideia’ as the archetype of western ancient education. According to Marrou, the ‘Hellenistic paideia’ is neither identical to nor inferior to ‘Greek paideia’. It is evident that during the Hellenistic period, education shifted away from the collectivist nature of the polis, which emphasized the pursuit of excellence as a ‘citizen’, and instead became a means for the realization of an individual’s self in its purest form. Furthermore, as ancient education first established a formal system in the Hellenistic era, this new ideal of education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Hellenistic empire. More significantly, the process of disseminating this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religious aspects inherent in education. An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ellenistic paideia’ could offer a new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religious elements embedded within the core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화로서의 교육
Ⅲ. 종교로서의 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