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정직업훈련시설 직업상담사가 경험하는 역할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Role Performance of Vocational Counselors at Designated Vocational Training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언 강혜영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44권 제2호,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정직업훈련시설 직업상담사들이 역할 수행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직업상담사 2급 혹은 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지정직업훈련시설에서 5년 이상 근무 중인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지정직업훈련시설 직업상담사의 역할 수행의 어려움은 6개의 범주(‘입사 초기 적응의 어려움’, ‘다양한 역할에 따른 어려움’, ‘훈련기관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따른 어려움’, ‘상담자로서의 역량 부족에 따른 어려움’, ‘지원 부족에 따른 어려움’, ‘직업상담사에 대한 인식 부족이나 부정적 인식에 따른 어려움’)와 11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업훈련 품질 제고를 위한 교육적・실무적・정책적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 depth the challenges faced by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in designate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who held a Level 1 or Level 2 national certification in vocational counseling and had at least five years of experience working at such instit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vocational counselors were categorized into six major themes: (1) difficulties in initial adaptation after employment, (2)challenges stemming from performing diverse roles, (3)issues related to the unique environment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4) challenges due to insufficient counseling competencies, (5) lack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6)negative perceptions or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vocational counselor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education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vocational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