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의 이해」 교과서 간 개념어 반영 비교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ceptual Term Representation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Textbook Understanding Education
- 발행기관
- 교과와 교과서학회
- 저자명
- 여상운 이경진
- 간행물 정보
- 『교과와 교과서연구』제5권 제1호, 43~7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25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양 교과서인 「교육의 이해」의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와 수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 본문을 대상으로 총 29개의 개념어를 도출하고, 상관분석, 빈도분석, 개념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간 개념어 출현 빈도에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r=0.8925)가 나타나 교육과정의 기본 구조가 교과서에 일정 부분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빈도분석에서는 교육과 학습은 과도하게 강조된 반면, 행복, 진로, 자아 등 정의적∙목적론적 개념은 저빈도로 나타나 균형적 구성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개념군 분석에서는 실천적/미래 지향적 개념군이 두 문서에서 모두 중심을 이루고 있었고, 정의적 개념군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다. 특히 교과서의 개념 분포가 실천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의 철학적 지향과 교과서 구성 간 간극을 드러내며,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개념 간 위계와 기능, 균형성을 고려한 내용 구성 전략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faithfully the high school liberal arts textbook Understanding Education reflects the contents and intention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The subject Understanding Education was officially adopted as one of the elective liberal arts courses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llowing a series of policy studies, forums, public hearings, and the final approval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The course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explore the nature and value of education while equipping them to live fulfilling lives as self-directed learners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Therefore, evaluating the degree to which the textbook faithfully represents the national curriculum is both timely and necessary.
Using content analysis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this study established 29 key conceptual terms as analytic criteria based on a longitudinal review of the curriculum from the 6th to the 2022 revis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riteria were confirmed through expert evaluation. The researcher then conducted frequency analyses, correlation tests, and conceptual category classification to compare the curriculum and textbook data. Inter-coder reliability was verified using Holsti’s formula and Kassarjian’s standard, yielding agreement rates over 95%.
The results showed a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 = 0.8925, p < .001) between the frequencies of conceptual term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indicating a high degree of content alignment. However,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analyses revealed considerable overrepresentation of certain terms such as education, learning, and society, while affective and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happiness, career, and self were significantly underrepresented. Furthermore, category-based analysis showed that the textbook focused heavily on pragmatic and future-oriented concepts, whereas affective and philosophical dimensions were marginalized.
In conclusion, although the textbook partially aligns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it exhibits notable imbalance and conceptual bia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more structurally balanced and pedagogically meaningful content design in future textbook development, particularly one that reintegrates the educational value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inher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의 이해」 교과서 간 개념어 반영 비교 분석
- 초등체육 운동·스포츠 영역의 표현활동 접근 가능성과 교육적 탐색
-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 내용 영역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 디지털 교과서 연구동향 분석(2009–2025): 핀란드·덴마크 정책 전환과 비교를 중심으로
- 비교과 수요조사를 통한 비교과 교육의 방향성 제고: 지방소재 C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 즐거운 생활 교과의 재구조화: 교과 분리와 통합의 긴장을 넘어서
-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수능 수학 출제 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28학년도 수능 개편을 중심으로
- 지능정보사회 대비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 2022 개정 '지식 재산 일반'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성취기준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 표현에서의 용언 사용
-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화용언어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간의 연관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