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이용수  8

영문명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Daily Living Performance in Older Adults: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ronic Diseases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유진영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1호, 133~14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BADL, IADL)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5대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골다공증, 치매)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노인 복지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연구로, 만 65세 이상 노인 10,078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BADL 및 IADL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우자가 없는 경우와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BADL과 IADL에 대한 독립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을수록 독립성이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골다공증, 치매와 같은 5대 만성질환이BADL과 IADL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치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배우자가 없는 노인과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 수면의 질이 낮은 노인에 대한 맞춤형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 노인의 기능적 독립성을 유지하고 향상하기 위해서는 치매 예방 및 조기 개입이 중요하며, 고혈압⋅당뇨병⋅관절염 등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운동 중재와 함께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증진 정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ive major chronic diseases (hypertension, diabetes, arthritis, osteoporosis, and dementia) on the daily living performance—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mong older adults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utilized secondary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total of 10,078 participants aged 65 or older were analyzed.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chronic disease presence on BADL and IADL. Results : Older adults who were not married or physically inactive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dependence in BADL and IADL. Increased age, lower education, lower income, and poorer sleep quality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declines in daily living performance. Chronic condition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rthritis, osteoporosis, and especially dementia negatively affected both BADL and IADL, with dementia having the strongest influence. Conclusion : Tailored early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older adults without a spouse, those who are physically inactive, and those with poor sleep quality. To promote and maintain functional independence, strategies including early dementia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olicies for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groups are essentia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진영. (2025).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 (1), 133-142

MLA

유진영.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1(2025): 133-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