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작업치료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제언

이용수  0

영문명
Suggestions on the Nee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Occupational Therapist Burnout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최영건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1호, 15~2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론: 작업치료사는 대상자 중심의 철학을 실현하기 위해 대상자의 작업과 활동을 분석하고 일상의 복귀를 위한 의미 있고 수행 가능한 활동을 지정하여 치료에 적용한다. 작업치료의 과정에서 치료사는소진을 경험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의 소진 연구를고찰하고 소진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론: 소진을 겪는 개인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고갈 상태에 이르게 되며 결국 직무의 수행 능력이 떨어지고, 대상자나 직무에 관하여 소홀하거나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 신체적, 정신적 탈진으로 성취감이 저하되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애착이나 독창성이 떨어지며, 고객과 동료 직원 및 자신이 소속된 조직에 대한 소원함을 느끼게 된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사람의경험을 간접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새로운 통찰을 얻는다. 집단상담을 통해서 참여자들은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고 지지함으로써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직장 내 문제, 감정조절 및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다. 결론: 작업치료사의 소진 예방을 위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치료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하고, 동료집단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며, 대상자와의 갈등 상황을 이해하고 합리적 대안을 마련함으로써 작업치료사의 자기 효능감을높여 이직 의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대상자 중심의 철학을 실현하는 작업치료에 대한 소명 의식을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 In order to realize the patient-centered philosophy, occupational therapists analyze the patient's work and activities, designate meaningful and performable activities for returning to daily life, and apply them to treatment. In the process of occupational therapy, therapists experience burnout and cause problems in social interactions. This study examines burnout research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roposes the nee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burnout. Main Body : Individuals who suffer from burnout become physically and mentally exhausted, which ultimately reduces their ability to perform their jobs and shows a negligent or cynical attitude toward subjects or jobs. Due to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one's sense of accomplishment decreases, attachment to one's job or originality decreases, and one feels estranged from customers, fellow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 one belongs to. Group counseling programs gain new insights by indirectly learning about other people’s experiences through social interaction. Through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can manage not only personal problems but als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rkplace problems, emotional regulation, and stress by respecting and supporting each other's emotions. Conclusion : By developing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occupational therapist burnout, therapists can improve self-directed problem-solving skills in social interactions, resolve organizational problems that may arise within the peer group, and resolve conflict situations with subjects. By understanding and providing reasonable alternatives, we will be able to increase occupational therapists' self-efficacy and lower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as well as strengthen their sense of calling for occupational therapy that realizes the patient-centered philosophy.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건. (2025).작업치료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제언.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 (1), 15-28

MLA

최영건. "작업치료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제언."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1(2025): 1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