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on the Mental Health of P atients with D ementia: A S y 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승희 김성원 한레이 정민예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1호, 51~6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치매관련 연구 및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5년 1월까지 Embase, KCI, Pubmed,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의 문헌들 중 선정기준에 따라최종적으로 7편을 선정하여 일반적특성, 중재 유형 및 방법,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문헌들의 중재 유형은 회상치료 프로그램(작업 중심, 맞춤형) 2편,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인지 및 행동 중재, 가정환경 수정),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 가정방문 인지 및 신체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 과제 지향적 활동 프로그램, 감각활동기반 인지재활 그룹 프로그램이 각 1편씩으로 나타났다. 분석 문헌들에서 정신건강 변수인 삶의 질, 우울, 자기효능감이 나타났으며, 삶의 질이6편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모든 분석대상 문헌에서는 중재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작업치료 중재는 우울 감소, 삶의 질 향상, 자아효능감 증진 등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전인적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한 효과 검증과 보다 정교한 중재 전략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the mental health of dementia patients and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future dementiarelated research and practice.
Methods : Until January 2025, 7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from Embase, KCI, Pubmed,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types and methods, and effects on mental health were analyzed.
Results : The types of interventions in the analyzed articles were 2 reminiscence therapy programs (occupationcentered, customized), 1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nd behavioral intervention,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1 lifestyle redesign program, 1 home-visit cognitive and physical activity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1 task-oriented activity program, and 1 sensory activ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program. The analyzed articles showed mental health variables such as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was investigated the most with 6 articles. All analyzed articl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depending on the intervention.
Conclusion :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on th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The results showed positive impacts, including reduced depression,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enhanced self-efficacy. Personalized approaches and emotional support were key factors in maximizing effectiveness. Future research should conduct meta-analyses to validate outcomes and refine interven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의 디지털 접근성과 사회적 고립 간의 관계: 2023 노인 실태조사 기반 분석
- 지역사회 인지기능장애 노인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인지훈련 콘텐츠 효과검증
- 모바일 앱 기반 중재가 중고령자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 치매 환자의 개별적 치료접근과 그룹 치료접근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작업치료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제언
- 중⋅고령 운전자의 페달혼동 예방을 위한 시각적 보조장치의 사용성 평가와 만족도 조사
- 국내 고령자 치매와 관련된 간호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1990-2020년 간호학술지 중심으로
-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간 관계에서 기본적(BADL), 수단적(IADL) 일상생활활동의 조절효과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손 사용을 통한 인지 기능 증진 도구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