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Perceived Employ ment I 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조미림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1호, 75~8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해 알아보고 일반적특성에 따른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 간의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5년 1월 2일부터 동년 1월 31일까지 전국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고용불안정성과직무만족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Shapiro-Wilk 정규성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 Kruskal- Wallis 검정, Spearman 순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은 전체 평균 3.03점, 직무만족은 전체 평균 3.27 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용불안정성은연령, 결혼상태, 근무지역, 고용형태에 따라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직무만족은 연령, 결혼상태, 근무지역, 작업치료 임상경력, 치매안심센터 운영형태, 고용형태에 따라 매우 유의한 차이가있었다(p<.01).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은 매우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결론: 본 연구결과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직운영의 효율성과 인력관리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치료사의고용안정성과 작업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ived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 From January 2 to January 31, 2025,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ceived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across South Korea. A total of 64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wit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llowed by the Shapiro-Wilk test for normality. Non-parametric tests including the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Results : The perceived employment insecurity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had an overall mean score of 3.03, and job satisfaction had an overall mean score of 3.27, indicating a “moderate” level. Employment insecur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work region, and employment type(p<0.01). Job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work region, clinical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type of center operation, and employment type(p<0.01).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p<0.01). Conclusion : Thes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establishing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stitutional and policy improvements to enhance employment stability for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overall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미림. (2025).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 (1), 75-86

MLA

조미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1(2025): 75-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