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손 사용을 통한 인지 기능 증진 도구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이용수  19

영문명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a Tool to Enhance Cognitive Function through Hand Use i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헌모 기민주 방한상 김나현 김승한 정영신 양영애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1호, 101~11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해당 연구의 목적은 기존 수공예와 같은 활동의 한계를 보완하고 기민성을 포함한 손 기능 사용을통한 인지 기능 증진 도구를 개발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 기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구슬 미로 보드’ 도구는 2024년 3월부터 5월까지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2025년 1월 5일부터2월 15일까지 노인 집단 25명과 전문가 집단36명을 대상으로 하여 도구를 적용한 이후 설문조사를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성 평가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과 전문가 집단 모두 도구의 편의성, 조작성, 안전성, 만족도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사용자 만족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특히 전문가 집단은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주관적 의견에서는 무게의 부담, 구슬 속도의 빠름, 난이도 조절의 한계, 안전성과 관련된재질 개선 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결론: 해당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과 관련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대부분의 항목에서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구의 제한점을 수정 및 보완하고,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 과정을 거친다면, 본 도구는 재활병원, 요양병원 및 지역사회 기관 등 다양한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often experience declines in cognitive and motor functions, yet traditional activities such as handicrafts have limitations in promoting cognitive engagemen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hand-function-based cognitive enhancement tool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Methods : The “Bead Maze Board” was developed between March and May 2024. A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5 to February 15, 2025, involving 25 older adults with MCI and 36 experts. Participants used the tool and completed a structur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Results : Both participant groups rated the tool positively in terms of usability, operability, safety, and satisfaction. User satisfaction received the highest ratings in both group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was found in the item “willingness to recommend to others, ” with experts providing higher scores. Subjective feedback indicated the need to improve the tool’s weight, control of bead speed, difficulty adjustment, and material safety. Conclusion : The developed tool was positively received by both older adults with MCI and experts. With further refinement and systematic validation of its effectiveness, it has the potential to be widely applied in rehabilitation hospitals, nursing homes, and community-based care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헌모,기민주,방한상,김나현,김승한,정영신,양영애. (2025).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손 사용을 통한 인지 기능 증진 도구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 (1), 101-110

MLA

김헌모,기민주,방한상,김나현,김승한,정영신,양영애.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손 사용을 통한 인지 기능 증진 도구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1(2025): 101-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