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치매대상자의 일상생활 참여 증진을 위한 시각적 단서 기반 활동 스케줄링 전략

이용수  36

영문명
Enhancing Daily Life Participation of Dementia Patients: Visual Cue-Based Activity Scheduling Strategy
발행기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저자명
김시은 성윤정
간행물 정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7권 제1호, 73~8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치매대상자의 일상생활 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비약물적 접근으로서 시각적 단서(visual cue) 제공과 활동 스케줄링(activity scheduling) 전략의 효과와 임상 적용 가능성을 문헌고찰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전략이 치매대상자의 지남력 향상, 정서적 안정,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문헌을 PubMed, DBpia, Google Scholar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치매 또는 인지장애를 가진 고령자를 대상으로 시각적 단서나 활동 스케줄링을 적용한 연구를 포함 기준으로 삼았다. 연구결과 : 시각적 단서는 언어 정보에 비해 인지적 처리 부담이 낮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워, 치매대상자의 불안 감소와 지남력 회복에 효과적이었다. 활동 스케줄링은 반복성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일상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자기주도적 행동과 참여를 유도하며, 행동심리 증상(BPSD) 완화 및 돌봄자의 부담 경감에도 기여하였다. 두 전략이 통합적으로 활용될 경우, 상호 보완적인 효과를 통해 더 높은 중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결론 : 시각적 정보 제공과 활동 스케줄링은 치매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과 돌봄의 질 개선을 위한 유망한 비약물 중재 전략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치매 대상자의 인지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설계와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clinical applicability of visual cue provision and activity scheduling strategies a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daily living participation among individuals with dementia. In particular, the review focused on how these strategies influence orientation, emotional stability, and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dementia care. Methods :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ubMed, DBpia, and Google Scholar for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4. Inclusion criteria were studies applying visual cues or activity scheduling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Results : The findings suggest that visual cues are more effective than verbal information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as they impose a lower cognitive load and are easier to understand intuitively. Visual supports were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and improving orientation. Activity scheduling, by introducing structure and repetition into daily routines, enhanced predictability and encouraged self-directed behavior and participation. It also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nd helped relieve caregiver burden. The integration of both strategies was found to have complementary effects, leading to improved intervention outcomes. Conclusion : In conclusion, visual information provision and activity scheduling hold strong potential as promising non-pharmacolog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ca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customized intervention designs tailored to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care environments of persons with dementia and to assess their feasibility in clinica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본 론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시은,성윤정. (2025).치매대상자의 일상생활 참여 증진을 위한 시각적 단서 기반 활동 스케줄링 전략.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7 (1), 73-82

MLA

김시은,성윤정. "치매대상자의 일상생활 참여 증진을 위한 시각적 단서 기반 활동 스케줄링 전략."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7.1(2025): 7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