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멜랑꼴리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기독교상담적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Psychoanalytic Consideration of Melancholie and Its Application to Christian Counseling
- 발행기관
-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 저자명
- 안석
- 간행물 정보
-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7권 제1호, 150~168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멜랑꼴리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은 우울이라는 특정의 병리적인 상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멜랑꼴리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을 통하여 정상적인 슬픔의 애도와는 구별되는 멜랑꼴리, 자아의 빈곤으로서의 멜랑꼴리와 자살 심리, 조증으로 돌변할 수 있는 또 다른 얼굴의 병리적 양상으로서 멜랑꼴리를 살펴보았다. 그 후 멜랑꼴리 환자(내담자)에 대한 정신분석적 돌봄의 측면을 자아와 자기의 애도 과정과 통합으로서의 멜랑꼴리의 치료, 어린 시절 외상적 경험의 치유로서의 멜랑꼴리의 치료, 자살 예방으로서의 멜랑꼴리의 치료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멜랑꼴리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을 통해 기독교상담에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를 절망에 대항하여 인간의 근원적 힘으로서의 희망하기, 멜랑꼴리의 절망감에 대항하는 희망의 대리로서의 기독교상담, 희망의 부재로서의 멜랑꼴리와 희망의 대리인으로서의 기독교상담사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영문 초록
Psychoanalytic consideration of melancholie carries significance beyond merely explaining the mechanisms of this particular pathological state. This study examines melancholie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by distinguishing melancholie from mourning, exploring melancholie as a condition of ego impoverishment and melancholie as another pathological aspect that can turn into suicidal psychology and mania. Sub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psychoanalytic care for patients(clients) with melancholie, including treatment of melancholie as a process of mourning and integration of the ego and self, as a healing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s suicide prevention. Finally, based on the psychoanalytic considerations of melancholie, this study explores how it can be applied and utilized in Christian counseling.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Christian counseling can counteract hopelessness by fostering hope as a fundamental human strength, how Christian counseling serves as an agent of hope against the despair of melancholie, and the role of the Christian counselor as an agent of hope in the absence of hop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II. 멜랑꼴리에 대한 고전정신분석적 이해
Ⅲ. 멜랑꼴리 환자에 대한 정신분석적 돌봄
IV. 멜랑꼴리에 관한 정신분석적 이해와 기독교상담적 적용
V. 나가는 말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민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한국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운드스케이프와 사운드테라피 활성화 방안 연구 -국내학술지(2014-2023)를 중심으로-
- NLP기반 그룹코칭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급지휘자 역량 강화를 위한 해결중심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디아스포라 정체성 인식이 청소년의 세계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지원사의 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과 컬러 성격유형을 활용한 중년여성 자기격려 컬러테라피 연구
- 육아공동체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서번트 리더 경험 연구
- 지속가능한 환경감수성 독서치료 연구 -농촌지역 조손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 멜랑꼴리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기독교상담적 적용
- 정서행동장애아동부모의 의미치료기반 부모훈련프로그램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결혼이주민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한국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운드스케이프와 사운드테라피 활성화 방안 연구 -국내학술지(2014-2023)를 중심으로-
- NLP기반 그룹코칭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