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한 환경감수성 독서치료 연구 -농촌지역 조손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Sustainable Environmental Sensitivity bibliotherapy Therapy - Focusing on Children from Grandparent-Rural Areas -
- 발행기관
-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 저자명
- 우진 고희자 최금순
- 간행물 정보
-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7권 제1호, 73~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지속가능 환경감수성 독서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 조손가정 아동 5명을 대상으로 환경감수성 독서치료를 실시하였다. 환경감수성 독서치료프로그램은 2024년 5월부터 8월까지 약 4개월의 기간에 걸쳐 주 1회, 각 회기 당 50분 내외로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분석은 연구자 개별 사례 회기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환경 감수성 향상과 정서적 안정, 그리고 독서 능력 및 책에 대한 흥미 증진에 기여하였다. 또한, 아동과 보호자 간의 관계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 방안 모색 기회를 제공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아동들은 환경 보호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한 삶의 태도를 내면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행동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 지역 조손가정 아동의 환경 감수성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 유용한 근거를 제공하며, 후속 연구에서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sustainable environmental sensitivity reading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from grandparent-raised families. This study conducted environmental sensitivity reading therapy on five children from grandparent-raised families in rural areas.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reading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pproximately 4 months from May to August 2024, with a total of 10 sessions lasting approximately 50 minutes each.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by individual case sessions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emotional stability, and reading ability and interest in books. In addition,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guardians, and provided opportunities to recognize and seek solutions to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particular,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children internaliz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a sustainable lifestyle attitude,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transitioning to practical behavior based on this.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ading therapy program to improve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children from grandparent-raised families in rural area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in follow-up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지속가능 환경감수성 독서치료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민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한국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운드스케이프와 사운드테라피 활성화 방안 연구 -국내학술지(2014-2023)를 중심으로-
- NLP기반 그룹코칭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급지휘자 역량 강화를 위한 해결중심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디아스포라 정체성 인식이 청소년의 세계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지원사의 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과 컬러 성격유형을 활용한 중년여성 자기격려 컬러테라피 연구
- 육아공동체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서번트 리더 경험 연구
- 지속가능한 환경감수성 독서치료 연구 -농촌지역 조손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 멜랑꼴리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기독교상담적 적용
- 정서행동장애아동부모의 의미치료기반 부모훈련프로그램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결혼이주민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한국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운드스케이프와 사운드테라피 활성화 방안 연구 -국내학술지(2014-2023)를 중심으로-
- NLP기반 그룹코칭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