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운드스케이프와 사운드테라피 활성화 방안 연구 -국내학술지(2014-2023)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Research on the Activation of Soundscape and Sound Therapy -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2014-2023) -
발행기관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저자명
이미나
간행물 정보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7권 제1호, 108~124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의 일상은 흙과 자연의 환경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어 각종 소음 및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있다. 이에, 건강과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식의 공간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웰니스적인 삶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고 웰빙적 건강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신체와 정신의 균형을 위한 회복환경의 공간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회복환경이 주는 경험은 정서적 안정감을 얻어서 피로회복 효과, 스트레스 감소 등의 건강적 측면의 기대감으로 자연을 기반한 활동을 추구하게 된다. 특히 소리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여 몸과 마음을 회복하려는 환경에 이르기까지 사운드스케이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약 10년간의 사운드스케이프 관련연구를 중심으로 사운드테라피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사운드스케이프 관련 국내학술지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 및 사운드테라피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ur daily lives are increasingly moving away from the earth and natural environment, exposing us to various noises and stresses. Accordingly, as interest in health and life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seeking a space for relaxation is increasing. A wellness life pursues a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demands well-being health.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people seeking a space for a recovery environment for the balance of body and mind is increasing, and the experience of a recovery environment provides emotional stability, and with expectations of health aspects such as fatigue recovery and stress reduction, they pursue activities based on nature.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soundscape is emerging, starting from interest in sound to an environment for recovering the body and mi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various components of sound therapy are utilized, focusing on soundscape-related research for approximately 10 years from 2014 to 2023. Accordingly, we inten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soundscapes and present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sound therapy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나. (2025).사운드스케이프와 사운드테라피 활성화 방안 연구 -국내학술지(2014-2023)를 중심으로-. 휴먼서비스문화연구, 7 (1), 108-124

MLA

이미나. "사운드스케이프와 사운드테라피 활성화 방안 연구 -국내학술지(2014-2023)를 중심으로-." 휴먼서비스문화연구, 7.1(2025): 108-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