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LP기반 그룹코칭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

영문명
The Effects of NLP-Based Group Coaching on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Empathy
발행기관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저자명
이은주 차승희
간행물 정보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7권 제1호, 125~1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의사소통 능력, 공감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기간은 2021년 5월 J지역 D대학생(실험집단28명, 통제집단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 그룹코칭 프로그램은 총 12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인식단계(1-2회기), 대인관계(3-5회기), 의사소통(6-8회기), 공감 능력(9-11회기), 종결단계(12회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전반적인 응답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신뢰도 분석을 통해 연구 변수들의 신뢰도를 검토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는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NLP그룹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능력, 의사소통 능력 및 공감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MZ세대 대학생들이 사회생활에서 요구되는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특히, 개인 코칭에서 주로 사용되던 NLP기법을 그룹코칭으로 확장하여 적용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group coaching program aimed at improving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empathy skills. The program implementation period was conducted in May 2021 for D university students in J region (2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The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group coaching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and consisted of recognition stage (1-2 sess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3-5 sessions), communication (6-8 sessions), empathy ability (9-11 sessions), and termination stage (12 session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verall response trend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variables was review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pre- and post-chan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analyzed through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NLP group coaching pro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an important program for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required in social life.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NLP technique, which was mainly used in individual coaching, was extended and applied to group coach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NLP그룹코칭 프로그램
Ⅳ. NLP그룹코칭 프로그램 조사 설계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차승희. (2025).NLP기반 그룹코칭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휴먼서비스문화연구, 7 (1), 125-149

MLA

이은주,차승희. "NLP기반 그룹코칭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휴먼서비스문화연구, 7.1(2025): 125-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