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 줄 세우기’에 균열 내기: 중학생이 구성한 능력 개념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Rupturing the queue of meritocracy: Exploring the concept of merit construc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조현기 손준종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5권 제1호, 139~17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많은 이들은 능력을 추구하려는 강한 애착을 느끼고 있다. 학교는 학업능력뿐 아니라 다양한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능력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간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는 중학생들이 능력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그리고 그것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학생들이 구성하는 능력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념도 연구(concept mapping)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생들은 능력 개념을 그 능력이 인정되는 영역과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개념화하고 있으며, 이는 결과 지향형 노력, 과정 중심형 노력, 관계 확장형 능력, 주어진 재능/조건, 관계 심화형 인성, 자기 확신형 능력과 같이 여섯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학교에서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 교사와 동료들에게 얼마나 인정받을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능력의 여부와 경중을 결정하는 한편 학교와 학교 밖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능력을 비교하면서 능력을 계발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인 학교 맥락에서 구성되는 능력 개념을 통해 다원적 능력과 인정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학교 능력주의라는 개념을 논의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영문 초록
Many people feel a strong attachment to pursuing merit. Schools, as environments aimed at fostering not only academic skills but also diverse abilities, are regarded as spaces where students form their understanding of meri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 the concept of merit, as well as the meanings they ascribe to i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findings reveal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ize merit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the domains and the methods through which abilities are recognized. This can be categorized into six types: result-oriented effort type(high-achiever), process-oriented effort(hard-worker) type, relationship-expanding type(social butterfly), natural talent or condition type(golden boy or girl), relation-deepening character type(good-mannered), self-assured type(Socratic thinker). Students evaluated merit based on their objectivity and the extent of recognition from teachers and peers. They used different strategies, realizing that the significance of merit differs between school and broader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school meritocracy, which emphasizes complex merit and recognition as key elements, can be discussed through the the context-specific construction of merit 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능력의 사회적 구성과 내면화
Ⅲ. 연구방법: 개념도 분석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이초 사건 전·후 교육의 사법화 현상 분석: 권리의 역설과 사법화의 딜레마
- ‘한 줄 세우기’에 균열 내기: 중학생이 구성한 능력 개념 탐색
- 코로나19 팬데믹이 국제학생이동에 미친 영향: 유입 및 유학목적지 다양성의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 ‘공교육 보완’ 수단으로서의 EBS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검토: EBS 과외 정책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청년교사의 노동자 정체성: 교원노조 소속 20-30대 교사들에 대한 질적연구
- 자녀의 기관 부적응을 마주한 학부모의 귀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에게로의 귀인과 귀인 도출의 두 층위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과 비다문화청소년의 노동시장 이행 결과 요인 탐색 -특성화고 졸업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