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의 기관 부적응을 마주한 학부모의 귀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에게로의 귀인과 귀인 도출의 두 층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Parental Attribution in Response to Their Child’s Institutional Maladaptation: Focusing on Attribution to Teachers and Its Two Levels of Form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강진아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5권 제1호, 71~10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녀의 어린이집 부적응을 마주한 영유아 학부모의 귀인(歸因, attribution)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특히, 학부모가 자녀의 부적응을 담임교사에게로 귀인한다는 것에 주목하고, 그러한 귀인이 도출되는 이유와 과정을 두 층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심리적 층위에서, 학부모가 첫째, ‘몸의 시그널: 자녀의 생물로서의 몸, 몸에 닿는 사물, 몸짓언어의 변화’, 둘째, ‘카메라 루시다: 교사의 시선’, 셋째, ‘말과 글의 외연과 내포: 교사의 언어 선택 및 조합’을 근거로 삼고, 그것들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덧붙여 자녀의 부적응을 담임교사에게 귀인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사회구조적 층위에서는, 자녀의 어린이집 부적응에 대한 학부모의 귀인 방식을 초래하는 조건으로서의 교육제도 및 교육문화를 확인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가정과 기관의 괴리: 환대의 아포리아’, 둘째, ‘아동 학대 소식: 부정적 상승작용’, ‘키즈노트: 온라인 플랫폼 기반 소통의 한계’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 주체 개인 또는 교육 주체 간 관계 범주로 축소되어 논의되기 쉬운 교육 문제가, 기실 제한된 범주의 연대와 올바른 소비로서의 행위를 부추기는 시장사회, 강한 접근성과 부정 편향성을 지닌 소셜․매스 미디어에 좌우되는 위험사회, 신뢰 확보를 위한 투명화 노력에도 역설적으로 구축되는 불신사회라는 사회적 특성으로부터 기인함을 언급하였다.
이 연구는 이제까지 아동의 기관 부적응에 대한 기존의 연구 전통에서 크게 언급되지 않았던 학부모 주체의 입장과 관점에 주목하는 동시에, 자녀의 기관 부적응에 대한 학부모의 귀인 근저에 자리한 존재 조건을 중층적으로 드러냄으로써,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복합적 접근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examining the attribution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experiencing maladaptation in daycare. In particular, it focuses on how parents attribute their child's maladaptation to the classroom teacher and explores the reasons and mechanisms behind this attribution by distinguishing two levels of analysis. At the socio-psychological level, parents attribute their child's maladaptation to the teacher based on three key factors: (1) bodily signals: Changes in the child’s body as a biological entity, the objects that touch the body, and body language; (2) Camera Lucida: the teacher’s gaze; and (3) the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words: the teacher’s choice and combination of language. Parents interpret these elements subjectively, reinforcing their attribution to the teacher. At the socio-structural level, the study identifies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es as underlying conditions that shape parental attribution. Specifically, three key themes emerge: (1) the gap between home and daycare: aporia of hospitality; (2) exposure to news of child abuse: negative amplification; and (3) Kidsnote: limitations of online communication platforms.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at educational issues, often reduced to individual agency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also shaped by broader societal structures. It discusses how they are influenced by (1) a market society, which promotes limited solidarity and acts of ethical consumption; (2) a risk society, dominated by highly accessible yet negatively biased social and mass media; and (3) a distrust society, where efforts for transparency paradoxically reinforce mistrust. By shedding light on the perspectives of parents—an aspect largely overlooked in prior research on children’s maladaptation in daycare— this study reveals the layered conditions underlying parental attribution. It ultimately argues for a multifaceted approach to addressing educational challenges.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심리적 층위: 자녀의 어린이집 부적응을 교사에게로 귀인하는 학부모의 사유 전개
Ⅲ. 사회구조적 층위: 학부모의 귀인 방식을 초래하는 조건으로서의 교육 제도와 교육 문화
Ⅳ. 학부모가 교사에게로 귀인하는 이유와 과정으로부터 확인 가능한 한국 사회의 특성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이초 사건 전·후 교육의 사법화 현상 분석: 권리의 역설과 사법화의 딜레마
- ‘한 줄 세우기’에 균열 내기: 중학생이 구성한 능력 개념 탐색
- 코로나19 팬데믹이 국제학생이동에 미친 영향: 유입 및 유학목적지 다양성의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 ‘공교육 보완’ 수단으로서의 EBS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검토: EBS 과외 정책의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 청년교사의 노동자 정체성: 교원노조 소속 20-30대 교사들에 대한 질적연구
- 자녀의 기관 부적응을 마주한 학부모의 귀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에게로의 귀인과 귀인 도출의 두 층위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과 비다문화청소년의 노동시장 이행 결과 요인 탐색 -특성화고 졸업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긱 워커(Gig worker)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진성리더십,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직원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공공기관 구성원을 중심으로
- MZ세대의 경력전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