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모집단 구성을 위한 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에 관한 인식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for the Composition of the Q Population: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정희정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63~1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Q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보육교사의 관점에서의 보육실습경험에 대한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인식을 파악하여 보육실습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예비보육교사가 이수하는 보육실습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8명의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내용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이 경험한 보육실습의 본질적 구
조를 4개의 본질적 주제, 14개의 소주제, 23개의 의미단위로 도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관한 인식의 본질적 주제는 ‘보육직무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 보육실습경험, ‘ 현장경험의 중요성’을 깨달은 보육실습경험, ‘보육실습지도교사의 자질과 역량’의 중요성을 알게 된 보육실습경험, ‘보육교사의 자질과 책임감’이 함양된 보육실습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후속연구인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실습에 관한 주관성 연구에서 Q모집단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궁극적으로 보육실무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바람직한 보육실습 체계 및 보육실습 내용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rves as foundational research to establish a Q sample by applying Q methodology, focusing on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ir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s. The goal is to utilize this research as a basis for building a childcare practice system,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practice undertaken by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eight childcare teachers, and the interview content was analyze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findings reveal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childcare teachers' practice experience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essential themes, fourteen sub-themes, and twenty-three meaning units. The essential themes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practice experiences include experiences that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hildcare job competencies, the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practical experience, the recognition of the qualities and competencies of practice supervisors, and the
development of qualities and responsibilities in childcare teachers.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subsequent research on the subjectivity of childcare practice using Q methodology, ultimately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system and content that enhances practical competencies in childcare.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직업적 웰빙의 매개효과 검증
- 어머니의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초등고학년 아동의 학업관련 정의적 요인이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업스트레스, 자율성,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
- 중학생의 교사관계와 학업열의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협동심의 순차적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초등교사가 인식한 교감의 코칭역량과 초등교사의 혁신행동 및 조직신뢰 간의 구조적 관계
- Q모집단 구성을 위한 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에 관한 인식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老年教育“1+2+X”协同模式研究——以湖北省老年教育发展状况的调研为例
- 体系化与专业化:学生社团组织在思政教育中的两大维度
- 制度赋能·协同共生·生态重构:韩国专门大学产教融合机制研究——兼论对中国高职教育高质量发展的启示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