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용수  4

영문명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 Children's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임화정 도미향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1호, 27~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양육스트레스가 매개하는 역할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SKC) 15차년도(2022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어머니와 자녀가 모두 참여한 1,210가구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부부갈등은 청소년 자녀의 우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할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부갈등 자체보다는 어머니가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정서적 불안정성과 우울감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경로로 작용하였다. 특히, 어머니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양육스트레스가 증가하며, 이는 자녀의 우울감을 높이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부부갈등이 존재하더라도 어머니가 양육 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낮을 경우, 자녀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부부갈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부모가 정서적 안정을 유지하고, 적절한 양육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 교육 및 개입 프로그램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안정과 양육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부부 관계 개선을 위한 상담 및 부모 역할 교육,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 children's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Using data from the 15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2022, a total of 1,210 households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thers' marital conflic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depression but had a significant impact when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Higher level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were linked to increased parenting stress,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adolescent depression. Conversely, lower parenting stress mitigated the negativ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 mental health.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arenting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cused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among mother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developing family support policies, counseling programs for marital conflict resolution, and tailored interventions to strength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o safeguard adolescent mental health.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화정,도미향. (2025).어머니의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2 (1), 27-46

MLA

임화정,도미향. "어머니의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2.1(2025): 2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